* 놀이 휴식 창조 24

어려운 문제가 있으면 한숨 자고 생각해 보자 / 오후 3~4시경 45분간 낮잠 잘 경우 → 인지능력 34% 향상, 효과가 6시간 이상 지속 / 평일에 수면부족을 주말에 채우는 방식 보다는 평일 충분..

□ 브레인 룰스 7잠은 생각과 학습의 필수 전제조건 ─ 잠을 자는 동안의 두뇌 활동 + 두뇌는 非REM수면을 제외하곤 깨어있을 때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함 ─ 인간의 수면주기 + 뉴런, 호르몬, 기타 생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시스템이 서로 경쟁하며 자고 깨는 것 반복 → 밤 뿐만 아니라 낮에도 경쟁, 번갈아 가며 이기고 지는 것 반복 → 일주기 각성 시스템 (프로세스 C) : 깨어 있게 하는 시스템 → 항상성 수면욕구 (프로세스 S) : 잠을 자게 하는 시스템 + 시상하부의 일부인 시교차상핵이라는 부위에 타이밍 장치가 있는 것으로 보임 + 하나의 프로세스가 우세해서 신체를 통제하다가 점차 약해지고 다른 프로세스가 우세해서 신체를 통제하게 됨 출처 : 다음 인체백과 ─ 수면시간 유형 + 종달새형 : ..

외부 요인으로 작업이 중단되면 그 일을 하는데 시간이 50% 더 걸리고 실수도 50% 늘어남 / 두뇌는 주의를 기울이는 일에 멀티태스킹을 할 수 없다

□ 브레인 룰스 4따분한 것은 관심을 끌지 못한다. (주의를 끌어야 뇌가 반응한다.) ─ 주의를 끄는 메시지는 기억, 흥미, 의식과 이어져 있다. + 기억 : 주의를 끄는 것은 기억(경험)의 영향이 큼 → 문화도 주의에 크게 영향을 끼침 : 아시아(고맥락문화. 배경과 관계에 주의), 서양(저맥락문화, 대상에 주의) + 흥미 : 감각기관을 통해 오는 여러 정보를 흥미로운지 뇌가 판단하여 주의를 기울임 → 마케팅에서는 거꾸로 주의가 흥미를 불러오게 하고자 함 + 인식 : 존재를 인식해야 함 → 눈 앞에 보이는 모든 것을 인식하지 않음. 인식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임 → 후두부 뇌졸중 임상 사례. 왼쪽에 보이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 접시의 오른쪽만 먹고 사용할 수 있음 → 좌뇌, 우뇌가 다른 스포트라이트를 가지..

인간이 빙하기과 간빙기에 살아남은 방법인 "적응"을 할 수 있었던 두뇌의 가장 큰 특징 2가지 / 실수했다는 사실을 알게 됨 => 실수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움

─ 인간이 빙하기과 간빙기에 살아남은 방법. 적응 + 안정을 포기하지만, 변화에 맞서 싸우지도 않았음. 환경이 변화면 그에 맞춰 적응해서 살아남음 + 적응을 할 수 있었던 인간 두뇌의 가장 큰 특징 2가지 → 축적된 지식을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 (실수했다는 사실을 알게 됨) → 데이터베이스를 즉흥적으로 만들어 내는 능력 (실수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움) + 재즈 연주자와 같은 능력 → 안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음악적 이론과 기술 등) → 즉흥적인 연주를 하는 능력 출처: https://thinkhuman.tistory.com/87 [Offbeat Project] 각색 모디스티 21.02.22

브레인 룰스 3: 사람의 두뇌회로는 모두 서로 다르다. (사람마다 배우는 속도도 다르다)

사람의 두뇌회로는 모두 서로 다르다. (사람마다 배우는 속도도 다르다) ─ 세포의 구조 + 세포는 달걀 프라이 모양. 세포질과 유전자가 들어 있는 DNA로 이루어진 핵으로 구성 + 유전자는 생물학적 지령이 담긴 인자. 키, 스트레스 반응 등 다양한 특성 관장 + 150~180cm길이의 유전물질이 마이크론 단위의 공간에 들어 있음 → 1마이크론 : 1인치의 25,000분의 1 + DNA는 규칙적인 방식으로 핵 속에 들어 있음. 접는 방식에 따라 간, 혈액, 뉴런 등으로 됨 ─ 뉴런의 구조 + 납짝한 부분을 세포체, 꼭지점을 수상돌기, 늘인부분을 축색, 축색 끝의 눌린 부분을 축색말단이라고 함 + 뉴런 줄기 껍질은 유지(인지질)로 된 이중 세포막 + 조밀하게 구성되어 있어 입체적 모양이지만 골격의 많은 부분..

브레인 룰스 2: 이해와 협력은 두뇌의 생존전략이다.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최고의 생존전략)

─ 인간은 가혹한 환경을 이겨내기 위해 똑똑해 지는 것을 선택했다 + 두뇌는 불안정안 외부환경에서 생존 문제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며 발전 ─ 상징추론 : 상징을 보고서 다른 것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 + 이중표상이론 : 어떤 사물이 실제로 소유하지 않은 특성과 의미를 지닌 것으로 여기는 것 → 엄지(좋아요), 한쪽이 씹힌 사과(애플社) → 즉,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사물을 생각만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 + 상징들을 결합해 글을 쓰고 수학적 추론을 함 + 타고나는 것은 아님. 36개월 정도 지나야 온전히 발휘 할 수 있음 ─ 인간이 빙하기과 간빙기에 살아남은 방법. 적응 + 안정을 포기하지만, 변화에 맞서 싸우지도 않았음. 환경이 변화면 그게 맞춰 적응해서 살아남음 + 적응을 할 수 있었던 인간..

브레인룰스 1: 운동. 몸을 움직이면 생각도 움직인다

□ 브레인룰스 1운동. 몸을 움직이면 생각도 움직인다. (적당하고 꾸준한 운동은 뇌를 건강하게 한다) ─ 운동을 하면 지능이 올라가나? + 운동하는 사람은 인지능력이 올라감 → 장기기억, 추론, 주의력, 문제해결 능력, 유동적 지능(재치) 등 + 그 이유는? → 운동이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세가지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배출을 조절 + 나이가 먹고 시작해도 효과가 있는가? → 나이먹고 해도 효과가 있으나 운동을 멈추면 원상복귀 됨 + 어떤 운동을 얼마나 해야 하나? → 많이 하지 않아도 됨. 일주일에 몇번 걷기만 해도 두뇌 기능 향상됨 → 하루 30분씩 일주일에 두세번 유산소 운동 정도(개인따라 다르기는 함) → 너무 많이해서 지치면 오히려 인지능력이 떨어질 수 있음 → 조금씩 오..

12가지 뇌의 법칙 /

https://youtu.be/oYXHmzMvS4E 앉아있으면 머리가 나빠져요. 뇌를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영상에 소개된 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IK1nMQq67VI https://www.youtube.com/watch?v=ck-tQt0S0Os John Medina Brain Rules (Updated and Expanded): 12 Pri... youtu.be 요즘 새로 구독하게된 유투버 이리앨님 주로 영어원서를 가지고 내용을 소개 해준다. 12가지 뇌의 법칙 ​ 1.생존 사람의 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발달되었다.그래서 뭐든 해보고 부딪히면 답이 나온다. ​ 2.운동 운동의 가장 큰 잇점은 뇌기능 향상이다. 일주일에 3번,20분 정도의 액티브한 운동..

유튜브 '조승연의 탐구생활'을 중 '인생을 바꾼 명언 / 제대로 된 모든 고등교육에는 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유튜브 '조승연의 탐구생활'을 중 '인생을 바꾼 명언 BSET 4' 다. ​ 4가지 중 첫 번째가 마음에 와닿았다. ​ 니체의 우상의 황혼 제대로 된 모든 고등교육에는 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발을 가지고 춤을 추는 것 아이디어를 갖고 춤을 추는 것 단어를 가지고 춤을 추는 것 펜을 가지고 춤을 추는 것 ​ 조작가는 춤은 노는 것, 펜은 공부,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생각했는데 이 글을 보고 생각이 바뀌었다고 한다. 남의 생각과 철학을 반주라고 생각하고 내 머릿속에서 춤추는 것처럼 퐁퐁 뛰어오르는 생각을 어깨를 들썩들썩하면서 펜으로 춤을 추듯 써 내려간다. 읽기와 쓰기를 춤을 추는 것처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지식을 즐겁게 생산하고 나누는 힘이 되었다고 한다. ​ 자라투스는 이렇게 말했다 웃음이 동반되..

한국인의 현세주의, 인생주의, 허무주의 이를 아우르는 실용주의 / 철학자 탁석산

한국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탁석산 | 창비 우리는 무엇으로 살고 있을까? 2000년 <한국의 정체성>으로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믿음을 뒤집는 도발적인 문제 제기를 했던 철학자 탁석산이 ‘한국 다시 보기’의 대상을 우리 주변의 일상과 문화의 차원으로 넓혔다. 그가 ..

우리 국민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상황에서 최상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실용주의적 생활철학을 체득했다

명강의를 찾아서] 철학자 탁석산 박사 "한번뿐인 세상 즐겁게… 한국인 지배철학은 실용주의" 대한민국만큼 역동적인 나라도 지구상엔 흔치 않을 것이다. 국민의 삶 또한 압축성장 경로를 따라 숨 가쁜 진화를 거듭했다. 대체 한국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한국인의 삶을 지탱해 온 철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