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지 발차기를 천 번 한 사람은 두렵다/ 천 가지의 발차기를 하는 자는 두렵지 않다 -이소룡 천 가지의 발차기를 하는 자는 두렵지 않다 그러나 한가지 발차기를 천 번 한 사람은 두렵다 -- 이소룡 -- * 경쟁력 2021.09.29
조던 피터슨: 힘을 갖기 전에는 선인인지 악인인지 알 수 없는 법 - 칼을 쥐어 놓은 후에야 비로서 그 사람의 본성을 알 수 있다 조던 피터슨의 강연에서 착함에 대한 개념을 듣고 와닿아서 공유한다. 1.이분법에 대해 (이건 강연 내용 아니고 내 의견이다.) 착함/악함 이란 개념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이분법적으로 나뉜 상반된 개념들은 공존해야 한다. 모순된 두 개의 사상이 공존할 수 있음을 (그리고 그래야만 함을) 보여준 동양의 불교나, 조로아스터교, 그리고 이를 보여낸 니체나 헤르만 헤세 류의 사상이 옳다는 걸 조지 피터슨은 착함/악함의 개념을 통해 잘 표현해준 느낌이다. 플라톤의 『국가』를 보면서 너무 이분법의 둘 중 한 쪽만 맞고 반대는 틀렸다는 논리의 흐름에 비판의식이 들었었다. 동양의 유교나, 서양의 소크라테스-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되어 절대 선과 진리를 추구하는 흐름에서는 양 극단의 둘.. * 경쟁력 2021.02.07
어떻게 최고의 나를 만들 것인가 / 심리학적 방법 / 오래 노력해도 실패: 원인을 엉뚱한 곳에서 찾기 때문 /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어떻게 최고의 나를 만들 것인가 원하는 것을 이루게 만드는 심리학적 방법저자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 역자 장원철 출판스몰빅라이프 | 2019.12.9. 페이지수296 | 사이즈 149*215mm판매가서적 14,400원 e북 9,900원 책소개 나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 굳게 결심하고 오랫동안 노력해 왔음에도 번번이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단순하다. 실패의 원인을 엉뚱한 곳에서 찾기 때문이다. 의지박약이나 부족한 노력은 실패의 본질적 이유가 아니다. 최선을 다하지 못했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실패의 진정한 원인은 목표 달성을 위해 나에게 최적화된 방법은 무엇인지,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지 깊이 고민하지 않고, 무작정 다른 사람을 따라 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최신 심리학 .. * 경쟁력 2021.01.02
의식적인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 / 안데르스 에릭슨 박사-1만 시간의 법칙’이론의 창시자 ‘얼마나 오래’가 아니라 ‘얼마나 올바른 방법’인지에 달려있다 노력의 올바른 방법은 집중, 피드백, 수정하기로 요약되는 의식적인 연습이다 전문가들이 장기간의 ‘의식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 즉, 자신의 컴포트 존을 벗어나는 고도로 집중된 연습을 통해서 탁월한 수행능력을 획득한 방법을 조사하는 것 ‘더 열심히’가 아닌 ‘다르게 하기’의 위대한 힘 펼쳐보기 책 속으로 나도 이런 주장에 반대할 생각은 없다. 연습으로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 그것도 많이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은 분명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노력을 해야 한다는 동기부여조차도 받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이런 책들은 때로 진정으로 원하는 마음과 각고의 노력만 있으면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인상.. * 경쟁력 2020.12.03
뱀 비늘 / 아이디어 원천으로 떠오른 동물, 뱀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살지.” 우리 조상들의 낙천성을 잘 보여주는 속담이다. 제자리에 있어야 할 무엇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할 것 같지만, 결국 어떻게든 해결하게 돼 있다는 긍정성이 담겨 있다. 이가 없으면 조금 불편하기는 하겠지만 잇몸으로 씹어 넘길 수 있고, 스포츠 경기에서 뛰.. * 경쟁력 2017.02.10
뱀은 분명 유연함 속에 강함을 감추고 있다 / 뛰어난 환경 적응력 덕분에 뱀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 지혜와 의술의 상징 ‘뱀’. 십이지 동물 중 여섯 번 째 동물이자 유일한 파충류. 뱀은 헤엄칠 수 있는 지느러미, 달릴 수 있는 다리, 날 수 있는 날개가 없어도 세계 어디서나 서식한다. 산, 들, 사막, 바다, 강…. 어느 곳이든 뱀은 살고 있고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뱀은 어떻게 다양.. * 경쟁력 2017.02.09
신동이란 ‘타고난 능력’이 비범한 사람을 가리키고, 천재란 ‘업적’이 비범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 21세기 新천재론 그동안 사람들은 보통 사람과 비교가 안 될 만큼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을 가리켜 ‘신동(prodigy)’ 또는 ‘천재(genius)’란 말을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깊어지면서 학자들은 이 두 단어를 구분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신동이란.. * 경쟁력 2017.02.01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따른다. 이른바 IDF 조건이다. 한 사람이 훌륭한 업적을 이루려면 ● 소질(I·Individuality)이 있어야 하고, ● 그 소질이 해당 영역(D·Domain)에서 교육·훈련·개발돼야 하며, ● 훈련 받은 소질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F·Field)에서 생업을 가져야 한다. 이렇게 볼 때 피카소는 천재 탄생의 세 가지 조건이 가장 이상적으로.. * 경쟁력 2017.01.31
1인자를 만든 참모들 - 루이 하우 "천리마도 채찍을 사용하지 않으면 천리에 닿지 않는다." 루즈벨트가 아이디어를 내면, 하우는 그것을 조각조각 내고 있을 법한 모든 결점을 샅샅히 찾아내는 비판자의 역할을 했다. 하우의 모든 비판을 충분히 방어하고 나서야 루즈벨트의 아이디어는 OK 사인을 얻을 수 있었다. 루즈벨.. * 경쟁력 2017.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