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ㅡ 강대국/역사 9

'앞으로 은행가가 세상를 지배할 것이다' 자크 라피트(1830)전 프랑스 총리

은행원이 되고 싶던 소년이 한 은행장을 찾아가 자신을 채용해 달라고 간청했다. 그러나 은행장은 소년의 초라한 행색을 보고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실망한 소년은 방을 나서다 바닥에 떨어진 날카로운 핀을 보았다. 다른사람이 다칠것을 염려한 소년은 핀을 주워 옷깃에 꽂고 집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소년이막 집에 도착했을때,은행에서 온 사람이 내일부터 출근하라는 소식을 전했다. 방금 거절당하고 온 소년은 어리둥절한채 다음날 은행으로 갔다. 은행장은 소년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어제 자네가 돌아가는 모습을 인상 깊게 봤네.바닥에서 핀을 주워 가더군. 은행 에서는 작은 일에도 세심한 주의와 정성을 기울여야 해.앞으로 열심히 일해 주게" 소년은 훗날 프랑스 제일의 은행가가 된 자크 라피트.그가 핀 하나를 줍는 마음으로..

지중해 사르데냐섬의 지구라트와 거석건축물, 거인상과 바다민족

https://youtu.be/bR2VaUBLKgM 아름다운 휴양지 지중해 사르데냐섬, 신석기말 오지에리 문화 Ozieri culture 청동기말 누라게(누라직) 문화 Nuraghe (Nuragic) 몬테데코디 지구라트 Monte D'accoddi ziggurat 신비한 계란바위, 스피어 스톤 sphere stone 고대건축과 별자리 숭배 희생의 제단 돌판, 대형 암굴 무덤단지 Domus De Janas 바위위에 새겨진 미스터리 카트 궤적 현무암 성채들 Nuraghe rosa, Nuraghe zenna maria, Su nuraxi 톨로스형 돔 무덤 Tholos, 코벨양식 corbel 미케네 아트레우스 보물무덤 Atreus treasury at mycenae 쿨오바 쿠르간 무덤 Kul-oba Kurgan..

프랑스 혁명과 영국의 딥스테이트 역사 / 딥스테이트 연구소 youtube를 보고서 /

▲ 영상 내용 소개 1. 소수 금권 과두가 지배하는 ‘자유주의 세계제국’의 핵심세력이 글로벌 뱅커임을 지적한다. 특히,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사실들은 이것이 “아래로부터의 민중혁명”이라고 주입된 역사 서술이 현실과 부합하지 않으며, 대신 민중을 동원한 유대 뱅커들의 네트워크와 협력자들에 의해 정교히 주조된 “프랑스판 색깔혁명”으로 이해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근대 유럽에서 공식처럼 복사되어 벌어지는 ‘자유주의 혁명들’은 궁극적으로 금권 과두들이 군주제를 붕괴시키고 국가 민영화를 이루기 위한 ‘리셋(reset)’용이다. 2. 이들의 후원과 계몽사상(프리메이슨의 사상)의 살포로 “프랑스 혁명”이 일어난다. ‘왕정의 악마화’를 통해 프랑스 군중을 부추긴다. 유럽의 카톨릭 국가인 프랑스에 뿌리 박고 있는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작은 차이와 결정적 분기점 / 흑사병

14세기 유럽의 봉건제도는 다수 소작농으로부터 극소수 영주로 부가 흘러가는 극도로 착취적인 체제였다. 흑사병으로 노동력이 급감하자 봉건질서의 기반이 흔들렸다. 흑사병은 대형사건이 기존 사회의 경제, 정치 균형을 흔들어놓는 '결정적 분기점'의 생생한 사례다. 하지만 동서유럽에서 흑사병으로 봉건질서가 흔들릴 때 일반 대중의 삶과 제도 발전의 운명을 완전히 갈라놓은 것은 작은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착취적 제도라는 악순환 고리를 끊고 좀 더 포용적인 제도가 태동하는 계기가 된 반면, 동유럽에서는 재판농노제와 같이 착취적 제도가 다시 고개를 들어 공고하게 자리를 잡는 시발점이 되었다. ​ 잉글랜드가 포용적 정치제도를 발달시킨 것은 두 가지 요인 덕분이다. 먼저, 명예혁명의 결과로 정치적 제도가 대단..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왜 늘 번영을 선택하지 않는가?

왜 늘 번영을 선택하지 않는가 경제성장과 기술 변화에는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가 수반된다. 분명한 사실은 권력집단이 종종 경제 발전과 번영의 원동력에 반대한다는 것이다. 경제성장은 창조적 파괴 효과가 고루 미치는 과도기적이고 불안정한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경제적 특혜가 사라질 것을 우려하는 경제적 패자와 정치권력이 침해당할 것을 두려워하는 정치적 패자가 가로막는다면 경제성장은 지속되기 어렵다 [출처] WHY NATIONS FAIL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작성자 에듀비욘 각색 모디스티 21.03.18

왜 영국이 이집트보다 잘살까? /권력을 가진 자들이 빈곤을 조장하는 선택을 하기 때문 / 남한과 북한은?

왜 영국이 이집트보다 잘살까? ‘영국이니까, 이집트니까’라는 대답만으로도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을 것만 같았던 질문에 저자들은 ‘왜’라는 의문을 던진다. 그리고 일부 사회가 가난한 이유는 지리ㆍ문화적 요인 때문이 아닌 권력을 가진 자들이 빈곤을 조장하는 선택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지...도자의 실수나 무지 때문에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이라는 말이다. 저자들은 오늘날 ‘국가가 왜 실패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과거를 돌아보고 각 사회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다. 다시 영국과 이집트의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대런 애쓰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영국이 이집트보다 잘사는 이유는 1688년 영국에서 정치는 물론 경제 환경까지 탈바꿈시킨 혁명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인민이 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