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놀이 휴식 창조 24

브루잉 효과: 문제를 해결하는 중에 잠시 생각을 멈출 때 더 좋은 해결책이나 영감이 떠오르는 현상

브루잉 효과 문제를 해결하는 중에 잠시 생각을 멈출 때 더 좋은 해결책이나 영감이 떠오르는 현상 생각을 멈추는 행위가 기존에 진행된 사고과정을 잠재의식의 영역으로 전환함으로써 기억 속에 있던 다양한 정보와 결합되어 더 좋은 생각을 이끌어냄 답이 보이지 않는 문제에 직면했을때 오히려 문제를 내려놓고 휴식을 취하는 행위가 필요 별을스치는바람[공연,미술,독서,걷기,산행]카페 에서 펌함 -------------------------------------------------------------------------------------------------------------------------------------------------- 심리학자들은 브루잉효과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어. 복잡한 생각을 잠시..

iceland in 4k ultrauhd

https://youtu.be/2h7Dy7O2brs 위 화면 중앙에 있는 우측으로의 삼각형을 글릭하면 화면나오거나 왼쪽 하단에 있은 다음에서 보기 youtu.be 클릭하면 화면 나오거나 위의 youtu.be 주소에 커서(화살표: 마우스를 옮겨)를 대고 마우스의 오른족 버튼을 누르면 명영할 수 있는 항목이 나옴 새창으로 열기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동영상 화면이 나오고 시작됨. 동영상 나오면 우측 하단의 전체보기를 클릭하여 보면 더 실감남 한상모 부인께서 직접 차를 몰고 가 함께 본 포천의 비둘기낭 주상절리가 여러층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깔려있음을 확인하고 서서히 지질학에 접하게 되었음. 2019.10.9 오전 11시경, 한상모 내외분, 최병수, 차영환 탐방 포천과 연천을 포함한 철원 용암대지(파주까..

놀이의 요소와 특징 - 자기 일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자기 일에 재미를 붙일 필요가 있다 / 아무리 힘든 일이라도 재미를 느끼게 되면 놀이처럼 신바람 나는 오락이 된다.

놀이의 말뜻 자고 먹는 활동은 인간의 직접적인 생존활동이다. 또 일정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고통을 참아가며 제약된 상황 아래 참여하는 활동은 ‘일’이다. 놀이는 생활상의 이해관계를 떠나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목적이 없는 활동으로서 즐거움과 흥겨움을 동반하는 가장 자유롭고 해방된 인간활동이다. 따라서 막연한 휴식은 놀이가 아니다. 일정한 육체적·정신적인 활동을 전제로 하며, 정서적 공감과 정신적 만족감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인간으로서의 삶의 재미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즐기고자 하는 의지적인 활동이다. 그러므로 놀이는 재미가 있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공감력이 있어야 하며, 모든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주는 자유스러움과 놀이 주체의 자발적인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놀이’는 ‘놀다’의 어..

브레인 룰스 (의식의 등장에서 생각의 실현까지)

김 치풍 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창조적인 사람.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으로 이견이 없을 것이다. 사실 일터와 학교에서 획일화, 규격화, 동질화에 관한 논의가 물러가고 창조, 창의, 혁신 등이 화두가 된 지는 오래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무엇’에 대한 고민보다 ‘어떻게’에 대한 답을 찾기가 더 어려운 게 현실이다. 그렇다면 물음은 이어진다. ‘무엇’이 창의성이라 할 때, ‘어떻게’ 그것을 개발할 수 있을까? 그런데 혹시 창조성 내지 창의력을 선천적인 재능 혹은 소수의 천재들만이 보유한 역량으로 여기고 있지는 않은가. 여기 우리 두뇌가 움직이는 방식을 약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창의력, 그 무한한 가능성의 문은 열릴 수 있다고 말하는 책이 있다. 바로 두뇌의 원리를 정리한 ‘브레인 룰스’라는 책이다...

10 ~ 30대 남자라면 당신의 뇌에는 '아이유' 뉴런이나 '소녀시대' 뉴런이 존재할 확률이 크다 / 아버지의 뇌는 '주현미' 뉴런이 자리잡고 있을 확률이 크다 => 마이클 조던이 야구선수로서 실패..

브레인 룰스3. 사람의 두뇌회로는 모두 서로 다르다 사람의 뇌는 모두 다르다. 전두엽이나 측두엽이 어떤 기능을 담당한다는 굵직굵직한 부분들은 어느 정도 정해져있지만, 그 세부적인 연결망은 개개인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당신이 10 ~ 30대 남자라면 당신의 뇌에는 '아이유' 뉴런이나 '소녀시대' 뉴런이 존재할 확률이 크다. 하지만 우리 아버지의 뇌는 어떨까? 아마도 '소녀시대'보다는 '주현미' 뉴런이 자리잡고 있을 확률이 크다. 이는 마이클 조던이 야구선수로서 실패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두뇌는 근육처럼 작동한다. 많이 움직일수록 커지고 복잡해진다. 그렇다고 해서 지능이 발달하는지는 다른 문제라 치더라도, 한 가지 사실을 확실하다. 우리가 어떻게 생활하느냐에 따라 뇌의 모양이 바뀐..

우리는 평생 타고난 탐구자로 살아간다 / 실제 경험을 해 보아야 제대로 학습할 수 있음 / 실제 경험을 해 보아야 제대로 학습할 수 있음

□ 브레인 룰스 12호기심. 우리는 평생 타고난 탐구자로 살아간다 ─ 아이가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 호기심 + 아기가 갖는 호기심은 본능적 욕구. 충동 → 감각을 동원해 다양한 실험으로 사물을 체계적 분석. 쳐다보고, 만지고, 빨고, 던지고, 부모의 입에 넣어보고 등 → 관찰을 통해 울면 엄마가 온다는 사실을 발견. 울음의 실험을 통해 가설 검정 → 어떤 행동을 하면 어떤 반응이 온다는 것을 배우고 다양하게 실험 +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실재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됨. 까꿍 ─ 생후 18개월 + 다른 사람들이 자신과 다른 욕망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을 더 좋아한 다는 것을 배우는 시기 → 그 전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세상 모두가 좋아한다고 생각. 모든 것은 자신의 것이라 생각 + 18개월이 지나면 ..

□ 브레인 룰스 4~12, 요약, 활용

□ 브레인 룰스 4따분한 것은 관심을 끌지 못한다. (주의를 끌어야 뇌가 반응한다.) ─ 주의를 끄는 메시지는 기억, 흥미, 의식과 이어져 있다. + 기억 : 주의를 끄는 것은 기억(경험)의 영향이 큼 → 문화도 주의에 크게 영향을 끼침 : 아시아(고맥락문화. 배경과 관계에 주의), 서양(저맥락문화, 대상에 주의) + 흥미 : 감각기관을 통해 오는 여러 정보를 흥미로운지 뇌가 판단하여 주의를 기울임 → 마케팅에서는 거꾸로 주의가 흥미를 불러오게 하고자 함 + 인식 : 존재를 인식해야 함 → 눈 앞에 보이는 모든 것을 인식하지 않음. 인식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임 → 후두부 뇌졸중 임상 사례. 왼쪽에 보이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 접시의 오른쪽만 먹고 사용할 수 있음 → 좌뇌, 우뇌가 다른 스포트라이트를 가지..

인간 본능과 행복 느낌/ 본능인 생존과 번식(번영 포함)을 통해 행복 느낌 - 생존 우선: 위기 관리(안정 포기, 변화에 맞서지 않음),=> 변화에 적응하면서 생존하고 번식(번영 포함)함

인간의 뇌는 목표를 성취하도록 디자인 되지 않았다, 살아남고, 현재에 충실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 (뇌를 풀가동하는 방법, 유트브에서 따옴) ==> 변화에 적응하도록 해야 한다. (모디스트 첨삭) 21.02.22. 모디스티 ------------------------------------------------------------------------------------------------ 인류는 진화사로부터 한 가지만은 알 수 있다. 비로, 두뇌는 불안정한 외부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문제점들을 해결하게끔 만들어진 것 같다. 이것을 '성능범위'라고 부른다 (P18) 이 책에서 다루는 각 주제 - 운동, 생존, 두뇌회로, 주의, 기억, 잠, 감각, 시각, 성별, 탐구 - 는 성..

뇌와 생존: 안정을 포기하는 것 / 그렇다고 해서 변화와 맞서 싸우려고 하지 않는 것 / 변화에 적응해 가는 것 / (실수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움)

인간의 뇌는 목표를 성취하도록 디자인 되지 않았다, 살아남고, 현재에 충실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 (뇌를 풀가동하는 방법, 유트브에서 따옴) ==> 변화에 적응하도록 해야 한다. (모디스트 첨삭) 21.02.22. 모디스티 ------------------------------------------------------------------------------------------------ 인류는 진화사로부터 한 가지만은 알 수 있다. 비로, 두뇌는 불안정한 외부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문제점들을 해결하게끔 만들어진 것 같다. 이것을 '성능범위'라고 부른다 (P18) 이 책에서 다루는 각 주제 - 운동, 생존, 두뇌회로, 주의, 기억, 잠, 감각, 시각, 성별, 탐구 - 는 성..

사람의 뇌는 생존하기 위해 발달했다 : 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발달되었다.==> 그래서 뭐든 해보고 부딪히면 ==> 답이 나온다

사람의 뇌는 생존을 위해 발달했다 1.생존 사람의 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발달되었다. 그래서 뭐든 해보고 부딪히면 답이 나온다. 1. 생존 기호추론 "뭐든 해보고 부딪히면 답이 나온다." 일단 부딪히면 어떻게든 되겠지 -> 뭐든 부딪히고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풀어나가도록 자신의 뇌를 믿겠다는 고차적인 접근을 하겠다는 다짐인 셈 --------------------------------------------------------------------------------------------------- 2.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어라. 생물학적으로 볼 때 한 종(種)이 다른 종을 지배할 수 있는 오직 두 가지뿐이다. 신체적으로 아주 강해서 힘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방법이 있다. 아니면 물리적 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