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산보다 기술 12

투자하는 인공지능 꿈꾼 천재 수학자, 짐 사이먼스 “주식은 수학입니다”

기자명 중소기업뉴스  입력 2024.03.04 20:00투자하는 인공지능 꿈꾼 천재 수학자짧고 크게 먹는 매수·매도로 초대박남의 생각 초스피드 모방이 성공비결경제위기 때 더욱 빛 발하는 숫자투자30년 동안 S&P대비 수익률 1천배 육박은퇴시 연봉 3조원대⋯월가서도 1등 2023년 11월 등장한 챗GPT는 대중적으론 상당한 충격이었다. 인간과 문답이 가능한 인공지능은 센세이션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오픈AI가 챗GPT에 이어 Dall-E라는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을 선보이자 대중적 관심은 더 커졌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스스로 생성하는 AI는 대중적으론 SF영화에서나 보던 것이었다.정작 오픈AI가 챗GPT를 선보였을 때 가장 덤덤했던 사람들이 있었다. 구글 등에서 수년 이상 인공지능을 연구했던 AI 전문가들이..

강태공, 중국역사상 문자로 기록된 첫번째 기업가일 것이다

작자: 飛揚山莊 ============= 강태공, 이 어부는 아마도 중국역사상 문자로 기록된 첫번째 기업가일 것이다. 그는 3000년이전의 상(商)나라때 살았다. 우리가 뒤져본 고대의 문헌에서는 자주 "아랑(牙郞)"이라는 글을 보게 되는데, 아랑은 치과의사의 이름이 아니라, '상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 기업가의 이름이 바로 강자아(姜子牙)였다는 것이다. 혹시 이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사실이 그랬다. 중국의 상업문화는 상나라때부터 시작한다. 상나라때의 농업과 목축업은 매우 발달하였고, 수공업도 어느 정도의 규모를 이루었다. 그래서, 상품거래와 장거리운송에 종사하는 상인들도 나타나게 되었고, 이미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기업가도 나타나게 되었다. 식육업을 예로 들면, 황소의 양식, 운송..

전쟁에서 이기는 법은 ‘기술혁신’ / 김우일 전 대우그룹 구조조정

칭기즈칸, 기술자 우대해 강력한 무기 개발 … 김우중, 기술원 설립해 핵심제품 육성 지금의 기업판매나 옛날의 전쟁이나 마찬가지다. 한정된 시장에서 자기의 제품을 더 판매하려면 차별화된 신제품을 가지고 경쟁자의 시장을 빼앗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새로운 황무지의 신시장을 개척한다는 것은 시장의 형성 가능성, 계속성 여부, 경제적 타당성 여부 등의 리스크와 여러 가지 비용 측면을 고려했을 때 성공 확률이 낮을 수밖에 없고 기존 시장의 울타리가 좀처럼 없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 정착된 시장을 빼앗는 것이야 말로 무혈입성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그 대가로 신제품의 출현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 출현을 위해서는 바로 R&D에 대한 엄청난 관심과 투자가 쏟아져야 한다. 칭기즈칸도 이미 성곽과 주민들로 견고하게 이..

한계를 넘는기술, 시스템(적) 사고란

공부에 집중한 학생들은 우수한 성적을 받았고, 반대로 학창시절부터 어느 특이한 분야에 집중한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받았을 것이다. 단, 성적이 좋건 나쁘건 성공했던 사람들은 자신의 분야에 집중했다. 집중이라는 루프로 출발한 사람들은 자신의 분야에 조금씩 두각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 지식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람들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방향과 맞아떨어졌을 때 폭발적 성장이 이뤄진다. 핸리 포드나 빌 게이츠가 그러했다. 사회가 제시하는 성공 코스의 실제 성공 루프는 다음과 같다. ``선택 -> 집중 -> 자기계발(연구) -> 가치창출 -> 공유(사업,위임) -> 성공 -> 선택 -> 집중 -> 자기계발(연구) -> 가치 창출 -> 공유 -> 성공 -> ......무한루프 `` 위와 ..

한계를 넘는 기술 : 저자 구디엔

제2장 성장력을 강화하는 법_ 능력을 고부가가치화하는 성장 전략 많아진 성공 기회, 더 치열해진 경쟁 해피존으로 들어오는 공만 친다 고가치 영역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멱법칙, 사회의 지렛대를 이용하는 법 선두 그룹 효과, 노력보다 중요한 위치 선점 인생에서 선두 그룹 효과를 활용하는 법 노력과 기술을 이기는 집중의 힘 반복이 만드는 절대 깊이 책보기에서 중요 내용만 발췌, 각색 20. 09. 30 모디스티

비즈니스 리더에 꼭 필요한 건 뉴 하드 스킬 / 첨단 기술 이해하는 것

제프리 가렛 와튼 스쿨 학장"비즈니스 리더에게 꼭 필요한 것이요? '뉴 하드 스킬'이죠." 제프리 가렛(Garrett·58) 와튼 스쿨(Wharton School) 학장은 다소 생소한 단어를 꺼냈다. 다양성이라던가 리더십처럼 익숙한 단어가 아니었다. 다소 의외라는 표정을 짓자 그는 "이미 당신도 알고 있는 것"..

호랑이 아가리에서 살아나는 법을 가르친 사람 그가 숙손통이었다 / 不懸齒牙 불현치아 /늘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라

不懸齒牙 불현치아 불 아닐 불: 아니다, 말라(금지의 뜻) 懸 매달 현: 매달다, 달아매다 齒 이 치: 이, 나이 牙 어금니 이: 어금니, 송곳니 풀이-치아 사이에 넣을 만한 것이 되지 못한다는 말이다. 즉, 의논의 가치가 없다는 뜻으로 문제가 되지 않음을 말한다. 유래-진나라 2세 황제 첫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