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읽기- 사촌이 땅 사면 배 아프다 - 스트레스 받으면 몸이 먼저 아픈 사례 -> 이타주의 병원에 가면 의사들이 이런저런 검사를 한 후에도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면 "스트레스 때문인 것 같다"고 할 때가 종종 있다. 머리가 아플 때도, 속이 안 좋을 때도, 다 스트레스가 문제라고 하니 돌팔이 의사가 아닌가 싶다. 하지만 괜히 하는 소리가 아니다. 실제로 몸이 스트레스에 민.. ^ 평정심 2014.11.30
장기투자는 엉터리 환상만 심어준다 / "돈의 원리: 막스 귄터 저 부자는 계획보다 대응을 중시한다 장기계획은 미래를 관리할수있다는 위험한 확신을 준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위험한 확신이다. 돈에 관한 당신에게 필요한 유일한 장기계획은 부자가 되겠다는 의지뿐이다. 베짱이처럼 홀가분해질 필요가 있다. 미래의 알 수도 없는 사태에 대처하기 .. ^ 평정심 2014.11.28
과욕의 통제가 결국 당신을 보다 큰 이득으로 연결시킨다(긴 안목으로 보면) 욕심으로 부자가 된 사람은 없다 막스 퀸터의 돈의 원리 제2부 과욕에 대해서 중 / 예전에 본 것을 다시 한 번 더 봄 아래 세계 최장 부부의 이야기는 ! 14.11.28 모디스티 도를 넘지는 않았다 '둘이 합쳐 211세'...세계 최장수 부부는 인도계 영국인 찬드 부부의 장수 비결은 무엇일까. 현지 기.. ^ 평정심 2014.11.28
창조적인 생각법 5편] 마음을 꿰뚫는 통찰력 / 심리 통찰술의 대가, 한비 통찰이란 자기를 둘러싼 안팎의 전체 구조를 새로운 시점에서 파악하는 일을 말한다. 통찰이 가능하려면 주위의 상황을 새로운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게슈탈트 심리학(형태 심리학)에서는 지각적 재구조화라고 한다. 춘추시대에 최고의 통찰력을 보여 준 대가.. ^ 평정심 2014.10.19
창조적인 생각법 4편] 모순을 넘어서는 힘 직관력 / 진나라 이사의 기회경영 마치 거대한 맹수 한 마리가 장전된 총알처럼 꿈틀거리는 상황을 앞에 둔 인간은 직관에 의존하게 된다. 직관은 이성과 분석을 거치지 않고 몸으로 본능적으로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이다. 그것은 언제나 결정적 순간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의 승패를 좌우하는 악역을 도맡는 능력이기도 .. ^ 평정심 2014.10.19
창조적인 생각법 3] 서로 다른 것을 녹이는 종합력 / 한 번 움직여 다섯 나라의 운명을 바꾼 자공 종합력은 ‘관찰'과 ‘비교'를 통해 종합적인 판단에 이르는 기술이다. 노(魯)나라 자공(子貢)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5개국을 서로 싸움 붙인 일은 관찰과 비교만으로 이뤄 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거기에는 현재의 행위가 미래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에 대한 경우의 수를 도출하.. ^ 평정심 2014.10.19
창조적인 생각법 1] 원근법적 관찰력 / 6개국의 재상을 지낸 춘추시대 종횡가 소진 관찰력은 기본적으로 풍경화가의 시선에서 탄생한다. 화가는 저 멀리 화폭의 균형을 잡아 줄 한 지점을 응시한다. 뛰어난 관찰자는 자신의 눈앞으로 확대된 풍경을 뚫고 들어가 사태의 발단을 찾아내고 그것을 꼭짓점으로 삼아 사태를 훑어 내려오며 정리한다. 바로 그것이 관찰의 깊이.. ^ 평정심 2014.10.19
정확한 욕망 - 비교력 / 네 개의 눈으로 사물을 꿰뚫어 본 한나라 유경(숙손통) 고전에서 배우는 창조적인 생각법 2] 정확한 욕망 - 비교력 / 네 개의 눈으로 사물을 꿰뚫어 본 한나라 유경(숙손통) 비교력은 나와 나 아닌 것, 중요한 것과 하찮은 것, 시급한 것과 여유 있는 것, 밝은 것과 어두운 것, 따뜻한 것과 차가운 것 등 서로 대비되는 사물의 속성을 정확하게 이.. ^ 평정심 2014.10.19
『2천년의 강의-사마천 생각경영법』책의 구성과 주요내용 제1강 ‘관찰력’에서는 춘추전국시대의 가장 뛰어난 ‘관찰력’의 소유자들을 소개했다. 진나라가 패권국의 야욕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을 때 이를 막기 위해 제후국들의 합종을 제안한 소진, 진나라의 떠오르는 책사로서 소진의 합종론을 깨기 위해 연횡론을 주창한 장의, 진.. ^ 평정심 2014.10.19
사마천 생각 경영법 / 2천년의 강의 제 1강 : 관찰력 이익과 화근의 뿌리를 관찰하라 화근의 뿌리를 정확히 관찰하라 : 소진의 합종론 위험은 과장해도 거짓이 되지 않는다 - 당장 닥칠 수 있는 환란이나 위험을 설득의 근거로 가져가면 덜 위험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다. -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인간 심리는 위험을 외면하거나.. ^ 평정심 201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