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ㅁ변화·관찰ㅁㅁ 17

트럼프가 세계단일화폐로 화폐개혁을 자신있게 추진할 수있는 히든카드

導率 송영진 2020년 12월 28일 오전 09:24 - 수정됨 친구신청 ♥ 소설 리멤버 아크 1. 비기닝 "영이 혼이라는 옷을 입고 영혼은 몸의 심장부위에 마음으로 자리잡는데 혼은 투명하기도 반투명하기도 불투명하기도 하며, 혼은 영이 몸에 들어가기 위한 매개 역할로 영이 어떤 혼의 옷을 입느냐에 따라서 영의 발현 양상이 달라짐. 대깨문 좀비들 개돼지들 조차 영은 밝으며 4차가 아니라 108차 산업혁명이 성공한다 해도 60조개 세포의 인간은 인간을 복제 못함. 이 마음때문에, "인생은 창조주 하나님이 연출하신 한편의 연극." 우리 이하트가 소설을 쓰면 가까운 미래에 팩트가 된다 하여 붙은 별명이 이하트 팩토설입니다. 4년동안 어떻게 그렇게 쪽집게같이 보이지 않는 현실을 분석해 정확히 미래를 예측할 수 있..

세상에 위험하고 불안한 모든 것을 제거할 수 있다고 가정해도, 그 즉시 다른 위험 요인이 나타난다 => 유치증(성인이 인지·정서적으로 어린이 상태에 머물러 있는 증상)과 절대적 무용성

(12가지 인생법칙/책요약/ 조던피터슨) (2020.11.21. 독서모임) ​ ​ 왜 처방받은 약을 먹지 않는가? 자신보다 애완동물을 더 아끼는 이유는? ​ 경험의 세계에 3가지 원초적 구성요소 : 혼돈, 질서, 혼돈과 질서를 중재하는 과정(의식) 혼돈은 지독한 배신을 당했을 때 느끼는 절망과 공포... 혼돈의 한가운데에서 자신을 만난다... 혼돈은 지하세계... 혼돈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모든 것과 모든 상황 혼돈은 형태가 없는 잠재적 가능성... ​ 질서는 탐험을 한 땅. 사회구조... 질서 속에서는 모든 것이 확실하다 질서의 세계에는 진실한 친구와 신뢰하는 동료가 있다 질서는 나의 가치관대로 경험과 행동이 체계화되고 모든..

조던 피터슨: 회피하는 순간 뇌는 위험하고 불안한것으로 간주한다 - 생존에 필요하기에 회피함 / 다시 같은 상황 만나면 - 어떻게 해야 하나 ?

심리학 교수인 저자가 인간의 감정에 대한 깊은 고찰과 진심이 느껴지는 책이다. 12가지 인생법칙을 말하는데 내용이 상당히 광범위하다. 하지만 저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딱 하나이다. 누구나 인생은 고통스럽고 힘들다. 그래도 자기 자신과 주변 사람을 믿고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말을 한다. 이 책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자료가 성경(Bible)이다. 과학적으로 다소 거리가 있지만 현재 인류가 고통받는 원인을 이야기로 만들기 위한 내용으로는 성경을 인용한다. 성경을 잘 모르는 내게 신선한 컨텐츠이다. ​ 서열은 생존과 적응에 중요한 질서이다. 적어도 인류가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면서부터 계급은 존재했다. 서열은 동물 세계에서 뚜럿하게 나타난다. 이유는 힘이 쎈 개체가 더 많이 번식하는게 유전학적으로 유리하기 ..

하워드 가드너는 리더의 덕목으로 그만의 독특한 이야기가 있는가 / 이야기는 바로 통찰 / 통찰력이 세상을 리드한다

하워드 가드너는 ‘통찰과 포용’이라는 책에서 리더의 덕목으로 이야기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리더와 리더가 아닌 평범한 사람의 중요한 차이는 그만의 독특한 이야기가 있는가 하는 점이다.” “리더는 핵심적인 이야기나 메시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이야기는 ..

다윈의 진화론은 많은 사례를 관찰하는 센스 메이킹(sense making)으로 찾았다

다윈이 어떻게 진화론을 찾아냈는지 아세요? 그는 빅데이터를 이용하거나 포커스 그룹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그는 모든 사례에 대해 열린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연구를 시작할 때 일체의 가설이나 편견도 없었습니다. 그는 단지 많은 사례를 관찰하고, 데이터를 축적했으며, 그 연관성..

소음 속 신호 포착하라 <= 말은 쉬우나 경험 관찰력 판단력이 좋아야 하네

《신호와 소음》네이트 실버 저 저자는 정보가 많다고 예측이 쉬워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이는 정확한 정보인 ‘신호’와 이를 방해하는 ‘소음’을 잘 분리해 잡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잘한 것을 무시한 채 커다란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사람보다는 여러 분야의 지식을 아우르..

현재 속에서 끊임없이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주기적인 피드백은 필수다

현재 속에서 끊임없이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주기적인 피드백은 필수다. 피드백은 미래를 보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끊임없이 재확인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야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를 창조하는(make the futures happen) 작업이 가능하다. 진정한 미래 경영은 결코 미래를 예측하..

재난의 신호는 작은 숫자에서 시작된다 / 예측이 성공할 확률이 낮은 이유를 주관적 관점으로 `오염`되기 때문

예측이 성공할 확률이 낮은 이유를 주관적 관점으로 `오염`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예측 실패는 선입견과 독단에서 나온다. 2008년으로 돌아가보자. 리먼브러더스발 금융위기는 그가 보기에 `예측의 처참한 실패`다. 3대 신용평가사는 CDO(부채담보부증권) 수천 종에 AAA등급을 매겼다. S&..

미국 정보당국보다는 스포츠 도박사가 예측에 뛰어나다 / 많은 정보가 있어도 ‘소음’ 속에서 ‘신호’를 찾지 못한다면 헛일

미국의 유명 스포츠도박사인 밥 하랄라보스 불가리스는 운이 나쁘면 연 100만달러, 운이 좋으면 그보다 서너배 수입을 올린다. 그러나 그는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내부자 정보를 사거나 심판을 매수하지 않는다. 다만 매일 밤 다섯 대의 텔레비전을 통해 NBA 생중계를 모두 관람하고, 못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