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것 받아들임 18

보왕삼매론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보왕삼매론」은 명나라 초기의 고승 묘협스님의 저서인 『보왕삼매염불직지』에 수록된 열 가지 짧은 가르침입니다. 보왕은 가장 보배롭다는 뜻이며, 삼매는 마음을 모아 잘 집중하는 삶을 뜻합니다. 보왕삼매론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하셨느니라. 2.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하셨느니라. 3. 공부하는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하셨느니라. 4. 수행하는데 ..

영성BOOK/기타 자료당신 영혼의 나이-5 단계의 영혼의 나이(5 Soul Age Stages)

youtu.be/AvuXnmYszns 예를들어) 각 영혼의 5 단계에서 7개의 레벨에서 평균 3번이상을 죽음과 환생 = 105번 ~ 다행인 점은 간혹) 각 영혼의 5단계에서 각 레벨의 3번이상이 아닌 1회나 2회 환생을 하는 예외도 있다고 하네요. 최소의 죽음과 환생 5단계영혼 * 7레벨 * 1회(죽음과 환생) = 35번 5단계중 어떤 단계의 영혼이라도 마지막 7번째 레벨에 도달한 사람들은 자아 도취와 자기만족에 빠지는 경향이 있음 태아 영혼 이제 막 인간의 모습으로 지구에 도착한 "태아 영혼"은 미숙하고 경험이 없음 ---> 세상의 때가 묻지 않은 순진함과 소박함을 간직, 독립적 의식의 부재 / 집단의식이 강함 윤리와 도덕 의식 부재 / 생존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음 나와 나와 아닌것 파..

모디스티: 조던 피터슨을 보면서 심리학자는 있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구나, 전쟁의 영웅들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활용하여 이기는 방법을 찾음

모디스티: 조던 피터슨을 보면서 심리학자는 있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구나, 전쟁의 영웅들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활용하여 이기는 방법을 찾음 스쳐가는 단상을 적음 21.02.18. 모디스티

플립사이드: ‘좌절의 순간 발견한 작지만 소중한 기회’ / 사전적 의미로 ‘레코드의 뒷면

‘플립사이드’란 사전적 의미로 ‘레코드의 뒷면 혹은 B면’ ‘(사람, 사물, 현상의) 이면, 또 다른 면, 반대면’을 뜻한다. 책에서는 ‘좌절의 순간 발견한 작지만 소중한 기회’를 바로 플립사이드라고 부른다. 크건 작건 우리의 인생에 놓여 있는 수많은 문제와 시련, 장애 안에는 그..

주의력을 훈련시키는 방법이 소위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이라는 것이다.

회복탄력성과 감성지능 며칠 전부터 계속 머리속에서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어디서 읽었더라..." 술을 계속 마셔서 머리가 혼탁한가 보다. 겨우 생각해 낸 것이, <장사의 시대>와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였다. 마지드의 넉넉한 품이란 일종의 회복탄력성을 의미한..

“감성지능의 토대가 되는 ‘정서지능’ 훈련은 주의력훈련에서부터 시작된다”

동명대 세계선센터는 10월 1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부산시청소년단체협의회 청소년인성지도자 30여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과 인성’ 특강을 실시한다. 이 특강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서지능 개발을 통한 방법으로 ‘마음챙김’을 통한 ..

주의력이 감성지능의 토대 / 감성지능훈련은 주의력훈련으로 부터 시작된다.

감성지능 개발을 위한 마음챙김 연습 2가지 감성지능훈련은 주의력훈련으로 부터 시작된다. 즉, 고요하고 맑은 마음을 갖게 하는 강하고 안정적이며 예리한 주의력이 감성지능의 토대라는 것이다. 자기인식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제삼..

내가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때, 내가 변화할 수 있다 / 심리학자 칼 로저스

심리학자 칼 로저스는 중요한 통찰을 제시했다. “신기한 역설은 내가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때, 내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본질적 속성은 깨어나서 번성하는 것이다. 우리 경험의 모든 부분에 대해 근본적 수용을 적용하는 것은, 진정한 지속적 변화로 가는 길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