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는 책임을 엉뚱한 대상에 돌리기 때문 =>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하면 실수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을 수 없다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의 저자 조지프 핼러닌 에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는 책임을 엉뚱한 대상에 돌리기 때문이다.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하면 실수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저자는 이렇게 외친다. 실수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우리가 '보..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3.08
오바마 대통령: 해병의 경례에 답례하지 않고 헬리콥터에 올랐다 곧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도로 내려와 해병의 손을 잡고 미안하다고 말했다 케슬러 책 내용의 일부는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데, 출처가 분명하지 않은 한 이메일이 한동안 번져나갔다. 그 익명의 이메일이 케슬러 책 내용이라고 주장한 것의 3분의 1은 사실이 아니라고 케슬러 자신이 밝혔다. 사실이 아닌 일화의 하나는 오바마 대통령에 관한 것이다. 괴 이메일은..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3.07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 왜냐면 머리말_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 왜냐면…… 009 01 인간은 보면서도 때로는 제대로 보지 못한다 022 02 인간은 의미를 추구한다 042 03 인간은 부분을 보고 전체를 파악한다 068 04 인간은 장밋빛 안경을 쓰고 있다 086 05 인간은 걸으며 껌을 씹을 수 있지만 더 이상은 어렵다 114 06 인간의 사고..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3.06
인간의 실수는 인간의 인식 구조가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 왜 그러는지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대비를 해야 조지프 핼리넌 지은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 알라딘 책소개에서 펌함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의 실수는 인간의 인식 구조가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퓰리처 상을 수상한 조지프 핼리넌은 무려 20년 동안 사람들의 실..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3.06
시험을 칠 때 처음 선택한 답에 집착하면 정답을 맞히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 후회이론 에서 벗어나야 첫인상에 대한 집착도 인상 깊었다. 시험을 칠 때 처음 선택한 답에 집착하면 정답을 맞히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실제로는 처음 택한 답을 고치는 학생이 정답을 맞힐 확률이 많은데 우린 답을 고쳐서 틀린 경우를 더 기억하기 때문에 여전히 처음 답이 정답일 것이라 믿는다. 나 ..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3.06
실수는 사소한 일이 아니다 / 편향은 실수의 지름길 / 과신은 자신에 대한 무지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 조지프 핼리넌 지음, 김광수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3월 우리는 크고 작은 실수를 반복하며 살아간다. 나이 들었다는 건 그 만큼 실수의 경험도 많다는 뜻일 터이다. 하지만 실수를 많이 했다고 해서 그것을 매번 수정하고 보완하며 살아왔을까. 대부분의 사람들..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3.02
'접대'보다 더 힘 있는 건 '대접'… 밥이나 술 대신 진지한 관심을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설득의 심리학' 공인 트레이너 '설득의 심리학' 활용하는 한국인들 치알디니 교수의 '설득의 심리학'을 활용한 한국 사례들을 정리해 본다. 1. 맥락을 바꾸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 근처 봉은사에서는 매년 1월 1일 새벽 신년 타종 행사가 열린다. 잠을 깨..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2.15
[취재 뒷이야기]심리학자 치알디니 명예교수가 말하는 설득의 과학 안녕하세요. 위클리비즈 최현묵 기자입니다. 지난 14일 자 조선일보 위클리비즈에는 ‘설득 과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로버트 치알디니(70) 미 애리조나주립대 심리학과 명예교수의 의 인터뷰 기사가 커버로 실렸습니다. 인터뷰 뒷이야기를 들려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달 23일 미 애리조..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2.15
설득하지 않고 설득하는 힘 / '설득의 심리학 완결편' 펴낸 로버트 치알디니 [Cover Story] 감정 스위치를 켜라… '설득의 심리학 완결편' 펴낸 로버트 치알디니[Cover Story] 감정 스위치를 켜라… '설득의 심리학 완결편' 펴낸 로버트 치알디니 지난달 23일 미 애리조나주 피닉스 애리조나주립대 캠퍼스. 섭씨 20도가 넘는 날씨라 반바지 차림에 조깅하는 학생도 적지 않았..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2.15
'깨진 창문 이론(깨진 창문 하나를 방치하면 다른 창문도 깨지게 된다는 것) / 낙서를 지우고, 쓰레기를 치우는 작은 조치들이 범죄율을 크게 낮춘다 ―최근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범죄 예방을 강조하며 '깨진 창문 이론(깨진 창문 하나를 방치하면 다른 창문도 깨지게 된다는 것 ☞ 링크)'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한국의 법 집행 기관에 범죄 경감에 대해 조언한다면 무엇을 바꾸라고 하시겠습니까. "낙서를 지우고, 쓰레기를 치우는 작.. # 남, 자신실패 인정 201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