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느냐 죽느냐의 생사(生死)를 다루고,
남느냐 없어지느냐의 존망(存亡)을 다루는 영역이 바로 군대다.
따라서 군대가 나서서 치르는 전쟁은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한다.
그런 전쟁에 나서면서 김일성 군대가 보였던 허술함은 그 이후 펼쳐진 전쟁터의 곳곳에서도 눈에 띄었다.
그들은 전쟁의 가혹함은 염두에 두지 않고
그저 펼치면 이룰 줄 알고 전쟁을 벌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 투자=전쟁:알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P TV의 몰락 => 파나소닉 등 日 업체들 눈물 흘린 이유 => 장점이 단점 될 수 있다 (0) | 2014.07.12 |
---|---|
최단 시간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하는 훈련과 * 세트플레이를 통한 득점 루트를 확보하는 것 (0) | 2014.07.11 |
김일성의 무지…기동과 집중, 포위, 보급 등 전쟁을 이해 못해 (0) | 2014.07.11 |
한강을 놓쳤던 김일성, 그는 전쟁을 잘 몰랐다 => 승기 잡기, 퇴로 차단 +>퇴로 확보, 재편성후 반격 (0) | 2014.07.11 |
4부 뇌는 주도적이 아니다 방어적 보수적 / 이기고 싶다면 쉽게, 짧게, 반복하라 (0) | 201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