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탄생-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박윤이한의書架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인슈타인, 파블로 피카소, 마르셀 뒤샹, 리처드 파인먼, 버지니아 울프, 제인 구달, 스트라빈스키, 마사 그레이엄 등 역사 속에서 뛰어난 창조성을 발휘한 사람들이 과학, 수학, 의학, 문학, 미술, 무용 등 분야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사용한 13가지 발상법을 생각의 단계별로 정리한 책.
역사상 가장 위대하다고 손꼽히는 천재들이 자신의 창작 경험을 통해 ‘생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으며 또한 생각하는 법을 어떻게 배웠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준다.
그들의 발상법을 관찰, 형상화, 추상,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 사고, 모형 만들기, 놀이, 변형, 통합 등 13단계로 나누어 논리정연하게 설명할 뿐 아니라 직관과 상상력을 갈고 닦아 창조성을 발휘하는 방법 또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생각’을 다시 생각하기
‘무엇’을 생각하는가에서 ‘어떻게’ 생각하는가로
옥수수 유전자와 교감한 노벨상 수상자
리처드 파인먼은 문제를 풀지 않고 ‘느꼈다’
직관이 교감을 통해 통찰로 이어진다
느낌 ? 감정 ? 직관의 사용법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환상’과 ‘실재’ 사이의 단절
실패한 지식인의 전형, 버지니아 울프의 아버지
이해가 아니라 외워서 알게 되는 교육시스템
피카소는 상상이 사실보다 진실하다고 믿었다
창조를 이끄는 13가지 생각도구
생각의 도구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생각도구 1 - 관찰
수동적인 ‘보기’가 아니라 적극적인 ‘관찰’
모든 지식은 관찰에서부터 시작된다.
우리는 세계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행동의 패턴들을 구분해내고,
패턴들로부터 원리들을 추출해내고,
사물들이 가진 특징에서 유사성을 이끌어내고,
행위모형을 창출해낼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혁신할 수 있다.-p58 중에서
자신의 말 그대로 피카소는 그 유명한 황소 연작물을 시작하면서
처음에는 황소의 모습을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그는 황소의 몸에서 펑퍼짐한 부분들이 형태를 만들고 있다는 점에 흥미를 느끼고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서 연작을 그려나갔다.-p122 중에서
로댕의 유명한 작품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고유수용감각적 상상력에 육체적인 형태를 부여한 것이다.
로댕의 말을 빌자면 모든 시인과 화가, 발명가를 상징하는 한 벌거벗은 남자가 긴장감을 주는 자세로 바위 위에 앉아서 생각에 빠져있다.
로댕은 "내 작품 <생각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그
것은 그의 머리, 찌푸린 이마, 벌어진 콧구멍, 앙다문 입술만이 아니다.
그의 팔과 등과 다리의 모든 근육, 움켜쥔 주먹, 오므린 발가락도
그가 생각 중임을 나타낸다"라고 쓰고 있다.-p223 중에서
31 면역학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한 샤를 니콜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새로운 사실의 발견, 전진과 도약, 무지의 정복은 이성이 아니라 상상력과 직관이 하는 일이다.
그런데 상상력이나 직관은 예술가나 시인들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현실로 이루어지는 꿈과, 무언가를 창조할 듯한 꿈은 같은 것이다."
46 루이 파스퇴르는 실험자가 가진 '환상'은 그의 능력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한다.
아인슈타인 역시 "창조적인 일에는 상상력이 지식보다 더 중요하다"라고 단언한다.
피카소는 "예술은 사람들이 진실을 깨닫게 만드는 거짓말"이라고 했다.
수많은 과학자, 예술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상상력이 단순히 진실을 발견하게 하는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상상력이 진실을 '이룬다'고 생각했다.
74 "우리가 보고, 기록하고, 구축한 모든 것들은 모든 지식의 틀이 뒤틀리는 것처럼 왜곡되곤 한다.
첫째는 우리 시대와 종족의 집단적 압력과 시대적 흐름 때문이고,
둘째는 우리들 각자가 가진 개별적 성향 때문이다." - 존 스타인벡 & 에드워드 리켓
152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안다는 것,
곧 무지의 패턴을 안다는 것은 무엇을 아는지 아는 것만큼 귀중하다.
노벨상 수상자인 의학자 토머스 웰러의 말에 의하면
"산더미 같이 쌓인 미지의 것들이 과학적 진보의 자극제가 된다"라는 것이다.
역시 노벨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아이작 라비는
"과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분야는 자신이 무얼 말하고 있는지 본인도 잘 모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스젠트 기요르기도 이에 동의한다.
그의 견해는 "과학자라면 인간 지식영역의 공란에 당연히 흥미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그 부분을 메우기 위해 기꺼이 일생을 바쳐야 한다"라는 것이다.
152 인디애나대학의 심리학 교수 엘리어트 허스트는
'우리는 무엇을 모르는가'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있다.
(중략) 그는 무 자체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무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무에 가깝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한다.
부재, 삭제된 것, 발생하지 않은 것들을 인식하고
이것들로부터 뭔가를 배우는 일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고 허스트는 논문에서 쓰고 있다.
그는 "동물이나 사람은 실재하는 것만을 강조한다"라고 말한다.
189 사과를 땅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면
이는 하늘 위로 계속 뻗쳐나갈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달까지도 끌어당길 것이라는 '유추'가 가능해진다. -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
195 삼백여 년 전에 프랑스의 철학자 디드로는
인간의 감각 소질을 '진동하는 민감한 현'에 비유했다.
그리고 진동하는 현은 다른 현을 진동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방식으로 '생각도 두 번째 생각을 호출할 수 있으며,
둘이 모여 세 번째 생각을 불러내고,
이 셋이 네 번째를 다시 끌어내는 등 계속 이어지게 된다'라고 말했다.
이런 식으로 이어지는 생각의 범위나 수에는 어떤 제한도 있을 수 없었다.
그는 마음의 악기는 놀라운 도약을 가능하게 하며,
불려나온 하나의 생각은 때때로 불가해한 간격으로 '배음'을 시작한다"라고 말했다.
237 고대 중국에는 다음과 같은 격언이 전해 내려온다.
"나는 듣고 잊는다.
나는 보고 기억한다.
나는 행하고 이해한다."
그러므로 그냥 앉아 있지만 말라.
원숭이처럼 움직이다 보면 자신이 어느새 문제를 풀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오직 몸만이 어떻게 답해햐 하는지 알고 있기 때문이다.
251 20세기의 뛰어난 과학사가인 토머스 쿤은
과학자의 삶을 단계적으로 복원시기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삶 속으로 '파고들어야' 한다고 제자들에게 누차 강조했다.
현존하는 기록을 연대기 순으로 읽다보면
과학자들이 다음에 쓸 편지나 논문의 제목이 무엇인지 예측할 수 있는데,
이 단계에서부터 주인공에 대한 이해가 시작된다는 것이 쿤의 주장이다.
그는 "만일 당신이 틀렸다면
다른 관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왜냐하면 자신이 연구하는 인물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그 과학자처럼 사고하고 행동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281 J.B. 스콧 할데인은
<적당한 크기가 되는 것에 대해 on Being The Right Size>라는 에세이에서
개미는 물방울의 표면장력을 마치 우리가 접착제 속을 걸어갈 때의 느낌만큼 크게 느낀다고 말하고 있다.
반면 우리 인간은 그런 장력 자체가 존재한다는 것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
한편 개미는 초고층빌딩에서 떨어져도 인간과는 달리 전혀 다치지 않는다.
만약 새를 코끼리만하게 키우면 아예 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부피는 치수의 세제곱씩 늘어나는 반면
날개 면적은 제곱씩 늘어나기 때문이다.
만일 세포가 방만큼 커진다면 그것은 몇 분 이내에 죽을 것이다.
순환시스템의 결핍 때문이다.
세포는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산소와 당의 확산에 의지한다. 그
런데 제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그 확산속도가 너무나 느려지게 된다
한국향토사랑청소년봉사단(카페)에서 펌함
'* 생각이 사람차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 창조의 기술 / 머릿속에서 정보를 재구성할 때 60~80퍼센트를 기억 / 실제 행동으로 옮길 때 80~100퍼센트를 기억 (0) | 2016.02.22 |
---|---|
생각의 탄생에서 배우는 창의적 생각 방법 13가지 (0) | 2016.02.22 |
달을 연구하기 위해 망원경을 고치기보다 달 탐사선을 만들고, 10%의 개선보다 10배의 혁신에 도전 (0) | 2016.02.18 |
성공한 모든 인간의 다섯 가지 공통점 (비인지적능력) 자기조절능력, 연마지향적, 투지와 인내력, 자기효능감, 탄력회복성. 충동제어력 (0) | 2015.12.16 |
21세기의 부모는 자녀에게 '물고기 잡는 법'이 아니라 '바다를 미치도록 그리워하는 법'을 알려줘야 한다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