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93

알츠하이머,파킨슨,루게릭 : 퇴행성 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퇴행성 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정상적인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세포가 손상되어 점차 증세가 나타나는 것. 흔함 정도: 알츠하이머>파킨슨>루게릭 ​ 루게릭병Lou Gehrig[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 운동 신경세포(Motor neuron)의 퇴화(Degeneration)에 의해 근육의 약화(Weakness)와 함께 자발적 움직임(Voluntary movement)이 소실되는 질환. 대뇌 겉질(피질)의 위운동신경세포(upper motor neuron,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줄기(뇌간)/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lower motor neuron)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 임상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위약(weakness, 쇠약) 및 ..

파킨슨병 치료제는 실질적으로는 아직 없습니다파킨슨병 초기에 중뇌 흑질치밀부의신경세포의 괴사를 억제시키는 약물은개발되지 않았습니다

파킨슨병 치료약물 문호리 ・ 2022. 8. 3. 19:11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파킨슨씨 질병 신경생리를 보면 중뇌 흑질치밀부 도파민생성하는곳의 신경세포가 파괴되어 도파민이 기저핵의 선조체에 전달되지 못하면 나타납니다 수의운동 피드백 신경전달경로/ 뇌과학의 모든것(박문호) 대뇌피질에서 운동명령이 떨어지면 바로 근육으로 전달되는것이 아니라 피드백 조절경로를 거친후 근육에 전달됩니다 대뇌의 기저핵( 바닥핵) 은 운동조절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기저핵의 선조체(꼬리핵+조가비핵) 대뇌입력을 받는곳 창백핵은 받은입력을 대뇌에 다시 출력하는곳 입니다 출력은 2가지 경로로 갑니다 직접경로(도파민D1) 는 바로 창백핵 외절에서 시상을 거쳐 대뇌피질로 전달되고 간접경로 (도파민D2) 창백핵 외절> 시상밑..

파킨슨이 주로 손떨림이나 보행장애같이 운동영역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고 있는바와 다르게 사실 빈 운동 영역 영향 또한 크다. 우울증, 기억상실뿐만 아니라 후각 상실, 수면장애, 인지장애,..

파킨슨병의 원인과 증상 파킨슨병은 고령이 되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질환으로 오인해 병이 상당히 진행된 뒤에 병원을 찾게 된다. 건망증이 발전해 치매라는 진단을 받았을 때는 이미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친 경우가 많아 환자나 보호자 모두 힘들고 긴 투병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파킨슨병과 치매를 완치할 수 없는 이유는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파킨슨병을 진단받은 환자들은 병에 대한 두려움과 막막함으로 마음부터 약해진다. 이로 인해 치료에 적극적이지 않거나 약에만 의지하고 일상생활을 위한 운동성 개선에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렇지만 사실 파킨슨병은 의료적 치료와 환자의 활동성을 높이는 전인적 치료를 병행해 증상을 완화하거나 상태를 호전시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