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이 사람차이

사람의 두뇌회로는 같은 사람이라도 분야가 다르면 다르다 /예: 마이클 조던 => 적성에 따른 일을 해야 성공한다.

modest-i 2022. 11. 24. 10:35

브레인 룰스 (저자 메디나)    12 개 중 3 번째: 생각의 개인차|'두뇌회로 … 사람의 두뇌회로는 모두 서로 다르다' 에서

 

내용일부를 보고 느낀점을 적었다.         2022.11.24  모디스티

 

---------------------------------------------------------------------------------------

 

브레인 룰스3. 사람의 두뇌회로는 모두 서로 다르다

사람의 뇌는 모두 다르다. 전두엽이나 측두엽이 어떤 기능을 담당한다는 굵직굵직한 부분들은 어느 정도 정해져있지만, 그 세부적인 연결망은 개개인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당신이 10 ~ 30대 남자라면 당신의 뇌에는 '아이유' 뉴런이나 '소녀시대' 뉴런이 존재할 확률이 크다. 하지만 우리 아버지의 뇌는 어떨까? 아마도 '소녀시대'보다는 '주현미' 뉴런이 자리잡고 있을 확률이 크다.

이는 마이클 조던이 야구선수로서 실패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두뇌는 근육처럼 작동한다. 많이 움직일수록 커지고 복잡해진다. 그렇다고 해서 지능이 발달하는지는 다른 문제라 치더라도, 한 가지 사실을 확실하다. 우리가 어떻게 생활하느냐에 따라 뇌의 모양이 바뀐다는 것이다. 연주할 악기나 운동의 종류에 따라 뇌의 회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 p 92

 

한 의사가 뜬금없이 제니퍼 애니스톤의 사진을 꺼내어 환자에게 보여준다. 그러자 남자의 머릿속 뉴런 하나가 흥분하여 번쩍거린다. 문제의 뉴런은 유명한 사람들과 유명하지 않은 사람들의 사진 80장에는 아무 반응을 하지 않았고, 여배우 제니퍼 애니스톤의 사진 7장에만 반응을 보였다.

우리의 머릿속에는 제니퍼 애니스톤을 보았을 때만 자극을 받는 뉴런, 일명 제니퍼 애니스톤 뉴련이 있는 것이다.

- p 96

 

학습하는 두뇌는 물리적 변화를 겪고, 그 변화는 각 개인마다 고유하다. 똑같은 경험을 하는 일란성 쌍둥이조차 두뇌회로를 구축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다.

- p 98

 

예를 들어, 학생들 중 10퍼센트는 사람들이 '지금쯤이면 글을 읽겠지'하고 기대하는 나이가 되어도 뇌가 글을 읽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회로화되지 못한다. 오로지 나이에만 기초를 둔 융통성 없는 학교 제도 모델은 두뇌생체학과 서로 어울리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

 

인가의 두뇌가 모두 다르게 회로화된다는 사실을 바꿀 수는 없기 때문이다. 모든 학생의 두뇌와 모든 직원의 두뇌, 모든 고객의 두뇌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회로화되어 있다. 그것이 두뇌의 법칙이다. 물론 그 법칙을 인정할 수도 있고, 무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농구를 잘하는 사람에게 야구를 하라고 시키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을 사람이 부지기수일 것이다.

- p 106, 109

 

각색 모디스티 21.02.24

 

[출처] 브레인 룰스 - 우리를 움직이는 12가지 두뇌법칙(1)|작성자 세렌디피티가 필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