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식박사의 <착각하는 CEO>라는 책안에 "스티브 잡스는 과연 훌륭한 리더였는가?"라는
챕터를 흥미있게 읽었다. 한마디로 '나르시시스트 리더는 조직에 해롭다'는 메시지였다.
그런데 문제는 나르시시스트가 리더로 발탁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고 실제 리더십평가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는 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실제 성과와의 상관관계는 없다는 것이다.
자신이 똑똑하다고 느끼기때문에 구성원들과 깊은 정보를 공유하지 않으며 독단적이기 쉽다는 것이다.
지배력이 강하고 승부욕이 강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을 압박하기 쉽다.
본인의 부정에 관대하기 쉬워 부정을 저지르기도 쉽다는 주장이다.
유정식 박사의 얘기대로라면 비록 똑똑해 보이고 리더십이 강해 보이는 나르시시스트는
절대로 리더로서 발탁을 자제해야 한다는 것인데, 문제는 어떻게 이들을 구분해낼 것인가? 이다
[출처] 나르시시스트 리더의 폐해|작성자 리차드
7장 스티브 잡스는 과연 좋은 리더일까?
나르시시스트 vs 유약한 팀장│성격과 창의성의 관계│부정을 저지르기 쉬운 성격│그들이 리더로 부상하는 이유│우리 회사의 CEO가 왕자병이라면?│조직에 위험한 자는 누구인가?
* 경영의 심리 : 부정적일수록 똑똑한 사람이다?
- 나르시시즘 : 리더의 자아도취적 성향 ==> 대표ceo "스티브 잡스"
나르시시스트 리더 -> 자신의 지식이 우수하고 고유하다고 여겨 정보공유를 어렵게 하며 압박받는 상황을 즐기고 다른 직원들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겉모습은 성과를 보장하지 못한다.
남들보다 돋보이기위해 참신하고 획기적인 것을 참고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하다. 리더를 선발할 때 나 재평가할 때 "과시효과" 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성과향상의 조직관리의 지혜다.
나르시시스트 ===> 권력을 추구하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을 과시하려 들며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는 사람. 목적달성을 위해 부정한 방법도 동원가능성이 높다. "떠벌리기" "명예욕" 이 대표적인 성향 이다. 다른사람들은 이들의 특성을 자신감으로 오해한다. 지배력성향이 강한사람이 (목소리가 큰 사람) 리더가 되는것이 나르시시스트이다. " 나 자신" 에게 몰입하는 것이 나르시시스트의 특징.
- CEO가 왕자병이라면 ? 회사성과에 좋지않으리라는 추론. CEO가 나르시시스트일수록 겉으로 드러나는 전략적 활력은 상대적으로 크고 남들보다 기업인수에 적극적이고 규모가 크다. 이러한 것들이 회사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경영을 불안정하게 만들수 있다. 회사의 윤리적 기강이 한두명의 나르시시스트에 의해 급격히 무너질 수도 있다. "화이트 칼라" 의 범죄의 가능성도 크다. 쾌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성실성이 높을지라도 진실성이 결여되어진다. 나르시시스트가 조직의 리더로 잘못 인정받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고 지속가능한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방법임을 기억해야 한다. 또한 "명석하지만 잔혹한" 나르시시스트가 조직의 리더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들은 문제극복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이들은 조직의 정체를 심화시키는 내부의 적이다. 좋은 아이디어에 브레이크를 거는 사람들이다.
[출처] 착각하는 CEO - 유정식 |작성자 맑은기운
--------------------------------------------------------------------------------------------------------------
https://youtu.be/d57fpBs6V5s 잡스인 척하는 사람들 : 막말하고 고집만 부리는 상사에게 (feat. Steve jobs)ㅣ자기계발ㅣ책그림
'- 심리, 후광효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좀비 / 정서적으로 죽는 상태) VS (적정한 자극 / 스킨십) VS (나는 다 알지 못한다 -> 자기 편향 벗어나는 방법) (0) | 2017.04.05 |
---|---|
활동적 타성 / 창업 때의 '문짝 책상'을 아직도 쓰는 아마존의 CEO 제프 베조스 (동영상) (0) | 2017.04.04 |
미완성에 대한 미련, 자이가닉 효과 / 미완성 효과 (0) | 2017.04.02 |
후회 없는 선택을 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것 - 반사실적 사고 (0) | 2017.03.25 |
루시퍼 효과 Rucifer Effect / 환경이야말로 사람을 바꾸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 (0) | 2017.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