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이란?
직관(直觀)[―꽌][명사][하다형 타동사]판단·추리·경험 따위의 간접 수단에 따르지 않고 대상을 직접 파악하는 일, 또는 그 작용. 직각(直覺).
직감이란?
직감(直感)[―깜][명사][하다형 자동사·하다형 타동사][되다형 자동사]사물의 진상(眞相)을 순간적으로 감지(感知)함.
• 【예】위험을 직감하다.
그런데 종종 직감과 직관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직감은 감각과 경험에서 비롯된 판단입니다.
그래서 직감은 상당히 본능적이죠.
동물들의 이러한 직감은 인간보다 뛰어난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지진이나 해일을 직감해 미리 대피하는 동물들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직관은 인간에게만 부여된 판단 능력입니다.
직관에는 이성적 사고 작용이 종종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직관은 직감, 이성적 사고를 포함한
다양한 사고들의 통합적 사고에서 비롯된 판단입니다.
그런데 상황에 따라 모든 사고가 통합적으로 작용될 때도 있고
어떤 사고는 배제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직감이 직관일 때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직감과 직관이 같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직관이
언제나 반드시 옳은 답, 꼭 본질에
부합되는 결과를 이끈다는 것은 틀린 말입니다.
직관력이 형편없을 수도 있고
대단한 통찰력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 차이는 직관의 깊이에서 발생합니다.
원하는 해답을 얻기 위해 얼마나 그것을 생각하며 느끼느냐
즉 해답을 얻기 위한 몰입이
결과의 차이를 만듭니다.
[출처] 서울대 전공실기/서울대 서양화과: 직감과 직관|작성자 조형과직관 ㅣ 장준규
-------------------------------------------------------------------------------------------
직감은 우리가 본능적으로 알고 있는것을 말하지만
직관은 사물을 바라볼 때 불확실한 미래를 앞두고
자신의 지난 경험과 현재의 자신의 생각을 토대로
선택하는 것이다.
직관을 잘 알고 있고 중요성을 아는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직관은 단순히 가지고 싶다고 해서 누구나 가져지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실패와 성공을 통해 얻어진 경험을 토대로
생각하는 힘을 가졌을 때
비로소 직관의 힘이 생긴다.
[출처] 직관 :: 이은성 지음/내 안에 숨은 1%를 깨우는 마법의 힘 |작성자 아린
직관(直觀)은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사고능력이다.
그래서 직관은 직감을 초월한 상태를 말한다.
흔히 직감을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나타내는 오감에 덧붙여 ‘제6의 감각’이라고 하고,
직관을 ‘제7의 감각’이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직관은 답을
알고 있다> 중에서
직관의 힘 - 내 안에 숨은 1%를 깨우는 마법의 힘 / 저자 : 은지성
'* 집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과 직관을 혼동하지 마라 / 설명할 수 있는 직관은 의지해도 좋다 : 돈의 원리(막스 귄터 저) 제7의 원리 직관에 대하여 (0) | 2017.01.29 |
---|---|
직관, 자신이 경험을 쌓은 분야에서만 통한다 / 스티브 잡스가 세그웨이에 관해서는 오판을 한 이유가 무엇일까? (0) | 2017.01.29 |
주의집중:동시에 보이는 몇 가지 중 나머지는 무시하고가장 효과 있는 1가지만 생각하는 일 (0) | 2016.07.12 |
성공하는 사람들은 목표에 오롯이 집중하고 다른 요인들 때문에 주의력을 잃지 않습니다 (0)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