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 그레이엄
마사 그레이엄 | |
---|---|
![]() 마사 그레이엄 (왼쪽) | |
출생 | 1894년 5월 11일 펜실베이니아 주 앨러게니 |
사망 | 1991년 4월 1일 (96세) |
국적 | ![]() |
직업 | 무용가 |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1894년 5월 11일 ~ 1991년 4월 1일)은 20세기의 유명한 현대 무용가로 데니숀 무용단에서 활약하여, 독무 군무 포함한 140개 이상의 작품 발표하였다. 현대무용 발전에 크게 공헌한 독창적 무용가 중 하나이다.
생애[편집]
마사 그레이엄은 1894년 5월11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부근 소도시 앨러게이니 마을에서 태어났다. 부친 조지는 정신과 의사였고, 맏딸인 마사에게 자애로운 아버지였고, 모친 제인 비어즈는 청교도 개척자 후손으로 엄격하며 깊은 신앙심을 갖도록 하였다. 마사가 천식을 앓아서 1908년, 14세가 되던 해에 펜실베이니아를 떠나 캘리포니아의 샌타바버라로 이주하였다. 1911년 그레이엄은 로스 세인트 데니스의 공연 관람 후 무용가가 되기로 결심하였으나, 부친의 반대에 부딪혀 컴모크(Commock) 학교에 진학하였다. 그 곳에서 마사는 교양 교육과 더불어 무용 공부를 하였다.
남보다 한참 늦은 나이인 17살이었지만 완벽주의자 일벌레인 그레이엄은 죽어라 연습해서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1916년 데니숀 무용학교에 들어가 데니숀무용단의 미국 순회공연에 주연 무용수로 선발되면서 활약했다.
1926년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딴 ‘마사 그레이엄 무용단’을 창단했다. 그해 그레이엄은 뉴욕에서 첫 발표회를 가졌다. 그레이엄은 자신이 만든, 가난한 노동자를 주인공으로 한 격렬한 춤 ‘반항’을 선보였고, 아름답고 우아한 춤에 익숙해 있던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
그레이엄의 춤의 소재에 한계는 없었다. 크리스트교가 중심인 미국사회에서 이교도들이 느끼는 두려움도, 원주민들이 성모마리아를 받아들이는 과정도 그에겐 춤이 됐다. 1944년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개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애팔래치아의 봄>을 공개했다. 그레이엄은 무대 미술과 음악, 표정 연기까지 신경썼고, 이때부터 무용은 음악, 미술, 연극의 요소를 다 가진 종합적인 예술 작품으로 인정받았다.
그레이엄은 69년 <독수리의 행렬> 공연을 마지막으로 무대에서 은퇴하고 후배들을 가르치고 창작하는 데 전념했다. 90년 191번째 창작무용 <은행 잎 조각>을 발표한 그레이엄은 91년 순회공연을 다녀오다가 97살의 나이로 폐렴에 걸려 사망했다.
------------------------------------------------------------------------------------------------------------------------
그레이엄
다른 표기 언어 Martha Graham
출생일시 | 미국 피츠버그 앨리게니, 1894. 5. 11 |
---|---|
사망일시 | 1991. 4. 1, 뉴욕 |
국적 | 미국 |
요약 위대한 무용가·교사·현대무용 안무가.
목차
펼치기- 1.개요
- 2.어린시절과 초기 작품
- 3.성숙기
개요
발레를 비롯한 그녀의 작품은 인간 내면의 표출을 지향하고 있다.
50여 년 동안 독무(獨舞)에서 대규모 군무(群舞)에 이르기까지 170편이 넘는 작품을 만들었고, 대부분의 작품에 직접 출연했다.
어린시절과 초기 작품
외과의사의 세 딸 중 한 아이로 태어났는데 그녀의 아버지는 인간의 행동 중에서 신체적 표현에 특히 관심이 많았다.
그레이엄의 선조는 한쪽은 마일스 스탠디시의 직계 자손이고, 다른 한쪽은 그녀의 표현을 빌리자면 '고약한 아일랜드인'이었다. 따라서 엄격한 신교도식 교육을 받으며 자랐지만 일찍부터 가톨릭 교회의 장엄한 의식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남부에서 얼마 동안 지낸 뒤, 그녀의 가족은 캘리포니아 주 샌타바버라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바다의 율동을 발견하고 동양예술을 접하게 되었는데, 이 2가지는 평생 동안 그녀의 작품에 뚜렷한 영향을 주었다.
루스 세인트 데니스와 테드 숀이 세운 무용학교이자 무용단인 데니숀에서 춤을 배우기 시작했다.
데니숀 무용학교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세계의 온갖 무용들(민속무용·고전무용·실험무용·동양무용·서양무용·아메리카 인디언 무용)을 가르친 곳이었다.
10대 소녀였던 그녀는 세인트 데니스의 종교적 신비주의에 매혹되었지만, 주로 숀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그는 그레이엄에게 극적인 힘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재능을 아즈텍 발레 〈소치틀 Xochitl〉에서 발휘하게 해주었다.
이 춤은 보드빌과 오케스트라 반주 무용공연(여기서는 숀이 직접 그녀의 상대역을 맡았음)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어 그녀는 데니숀 무용단의 스타가 되었다.
그레이엄은 1916~23년 데니숀 무용단에서 활동했으나 나중에는 이 무용단의 절충주의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하지만 데니숀무용학교에서 배운 동양풍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여, 중견 무용수가 되었을 때는 세인트 데니스처럼 여사제 같은 분위기를 풍겼다.
그녀는 데니숀 무용단을 떠난 뒤 그리니치 빌리지 폴리스 레뷰에서 2년간 활동했다.
그러나 그녀가 원한 것은 스스로의 독립만이 아니었다. 그녀는 춤 속에서 육체 그 자체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었다. 1924년 그레이엄은 무용을 가르치고 새로운 실험을 하기 위해 뉴욕 주 로체스터에 있는 이스트먼음악학교로 갔다.
1926년 마사 그레이엄은 독립한 예술가로서 뉴욕 무대에 첫선을 보였다. 처음부터 실험의 결실이 몇 가지 보이긴 했지만 〈3명의 고피 처녀들 Three Gopi Maidens〉과 〈나른한 춤 Danse Languide〉을 비롯한 대부분의 작품은 데니숀 무용단의 춤을 되풀이한 것이었다.
비평가들은 그녀가 우아하고 서정적이라고 칭찬했다. 그러나 1927년의 무용발표회에서는 모든 것이 바뀌어 그뒤 10여 년 동안 그녀의 춤은 추악하고 을씨년스러우며 애매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데니숀 무용단의 이국적인 의상과 사치스러운 무대장치는 이제 과거의 것이 되었다.
1927년에 발표한 작품 가운데 아르튀르 오네게르의 전위음악을 반주로 한 〈반란 Revolt〉은 미국 무대에 처음 오른 사회비판과 항변의 무용이었다.
관중은 감동하지 않았고 무용가와 연극전문가들은 모두 그녀를 비웃었다. 유명한 희극배우 파니 브라이스도 시사풍자극에서 그녀를 비꼬았다. 그레이엄 자신도 나중에 이 10년 동안을 그녀가 거의 제복처럼 입었던 수수한 모직옷에 비유하여 '치렁치렁한 모직옷과 같은 시기'라고 했다.
그녀에게 평생 동안 강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사람은 데니숀 무용단의 음악감독인 루이스 호스트였다.
그는 그레이엄보다 2년 늦게 데니숀무용학교를 그만두고 그녀의 음악감독이 되어 그녀가 독립활동을 시작한 후 20년 동안 반주음악을 작곡해주었으며 그가 1964년에 죽을 때까지 두 사람은 가까운 친구로 지냈다. 그가 작곡해준 음악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독무인 〈프론티어 Frontier〉(이 춤은 오늘날 고전이 되어 있음)의 반주음악, 그리고 그레이엄과 여성 무용단을 위한 〈원시의 신비 Primitive Mysteries〉였다.
〈프론티어〉(1935)에서 그녀는 처음으로 무대장식을 사용했는데, 이때부터 유명한 일본계 미국인 조각가 이사무 노구치와의 오랜 협력관계가 시작되었다(→ 무대 디자인). 그레이엄은 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무대장치를 개발해냈다.
평면적인 벽면과 현수막 대신 조각품이나 3차원적인 소도구를 사용한 것은 그녀가 이룩한 무대혁신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점이었다. 이 장치들은 그녀의 무용관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성숙기
그녀는 춤이란 한편으로 서사적인 표현수단이지만, 연극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정신과 감정의 본질을 탐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프론티어〉의 안무는 선구적인 여성이 미지의 영역을 정복하는 내용을 상징하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 이오카스테를 다룬 〈밤의 여로 Night Journey〉(1948)는 이오카스테가, 자신이 아들인 오이디푸스와 결혼하여 아들의 자식들을 낳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부터 시작한다.
이 작품은 오이디푸스보다는 이오카스테를 비극의 희생자로 다루고 있으며, 그녀가 일생 겪었던 사건들을 상상 속에서 다시 체험하면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여준다.
에밀리 디킨슨을 다룬 〈세계에 보내는 편지 Letter to the World〉(1940)에서는 시인의 다양한 성격을 나타내기 위하여 여러 명의 배역을 사용했다.
10년이 넘도록 그레이엄 무용단은 여성단원으로만 이루어져 있었지만 남성 무용수들도 필요하게 되었다. 그녀는 발레 무용수인 에릭 호킨스를 입단시켜 주요 작품인 〈아메리칸 다큐멘트 American Document〉(1938)에서 함께 공연했다.
그녀와 호킨스는 결혼했지만 그들의 결혼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무용가로서 50년이 넘는 세월을 보내는 동안, 그녀는 독무에서 〈클리템네스트라 Clytemnestra〉(1958) 같은 대규모 무용극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춤을 창작했다. 그녀는 거의 언제나 인간의 갈등과 감정에서 춤의 주제를 찾았다.
배경과 시대는 달라도, 그녀의 춤은 항상 수많은 인물들의 내면적 본질을 탐구했다. 미국 개척시대의 생활을 다룬 작품도 몇 편 만들었는데 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아론 코플런드가 음악을 맡은 〈애팔래치아 산맥의 봄 Appalachian Spring〉(1944)이었다.
또 하나의 주제는 그리스 신화로서 그리스 고전극과 전설 및 신화에 바탕을 둔 춤을 많이 만들었다.
메데이아라는 인물을 다룬 〈마음의 동굴 Cave of the Heart〉(1946)은 전설의 줄거리를 춤으로 변형한 것이라기보다는 모든 여성의 마음속에 숨어 있는 메데이아의 속성, 즉 불타는 질투심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도 파멸로 이끌게 되는 속성을 그린 것이다. 이 춤의 음악은 새뮤얼 바버가 맡았다.
괴물 미노타우로스와 미궁이라는 상징을 통하여 인간의 마음속에 숨어 있는 두려움을 표현한 〈미궁 속의 사명 Errand into the Maze〉(1947)·〈알케스티스 Alcestis〉(1960)·〈파이드라 Phaedra〉(1962)·〈키르케 Circe〉(1963)를 비롯한 후기 작품들도 역시 그리스 전설에서 따온 것이었다.
성경의 주제와 종교적 인물들도 그녀에게 영감을 주었다. 〈천사의 대화 Seraphic Dialogue〉(1955, 잔 다르크)·〈성벽에 둘러싸인 정원 Embattled Garden〉(에덴 동산)·〈유딧의 전설 Legend of Judith〉(1962), 환상적인 추상세계를 다룬 〈Diversion of Angels〉(1948)와 〈신의 어릿광대들 Acrobats of God〉(1960)이 그런 작품들이다.
그녀의 후기 작품으로는 〈엔도르의 마녀 The Witch of Endor〉(1965)·〈독수리 행렬 Cortege of Eagles〉(1967)·〈태고의 시간 The Archaic Hours〉(1969)·〈저녁의 걸인들 Mendicants of Evening〉(1973)·〈루시퍼 Lucifer〉(1975)·〈올빼미와 고양이 The Owl and the Pussycat〉(1978)·〈프레스코 Frescoes〉(1980) 등이 있다.
1980년대초에는 〈빛의 행위 Acts of Light〉(1981)를 시작으로 하여 신고전주의 작품을 만들었다.
무대에서 당당한 자세와 넘치는 힘을 보여주었지만, 사실 그레이엄은 몸집이 작은 여성이었다. 지칠 줄 모르는 열정에 성격이 급해서 그녀가 화를 내면 모두가 두려워할 정도였으나, 한편으로는 쾌활하고 친절하고 익살스러웠으며 단원과 제자와 친구들에게 무척 너그러운 사람이었다.
1970년 무용가로서 은퇴를 발표했지만 안무와 무용지도는 계속했다. → 현대무용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어떻게 도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사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는 등에 진 짐따위는 벗어버리는 것이 좋다 / 누워서 천천히 헤엄쳐 나오면 된다 (0) | 2016.06.20 |
---|---|
‘푸르름을 간직하는 한, 당신은 성장한다. 완벽하게 성숙했을 때 당신은 부패하기 시작한다.’” / 레이 크록 / 맥도날드 (0) | 2016.06.16 |
녹색 창고의 거대한 별 – 아니타 로딕 / 깊은 인생 (0) | 2016.06.07 |
영적인 비즈니스: 기업 활동을 통해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살아있는 전설, 아니타 로딕 (0) | 2016.06.07 |
스피노자: 유대교로부터 파문을 당하여 동족으로부터 기피 인물 / 그 파문으로 그는 ‘촉망 받는 유대의 신학자’에서 ‘근대의 가장 위대한 찰학자로 (0) | 2016.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