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만 느낄 수 있는 총족감
의미 있는 인간의 삶 추구 방식은
인간관계에서의 삶 추구와
흥미,믿음,사고의 형태에서의 삶 추구로
나눠볼 수 있다.
이 중에 하나만 선택 되는 삶도 존중되어야 한다.
종교 개혁을 기점으로 자아는 집단 자아에서 개인 자아로 이동하였는데
집단자아에서는 오직(?) 인간관계만 중시했다.
그러나 개인 자아 속에서 삶 의미는
인간 관계 이외의 요소도 중시되고 있다.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사고체계를 갖추고
그 다음에 다른 사람과의 유익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스스로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혼자 있어야 할 필요와 혼자서만 느낄 수 있는 충족감으로 설명 될 수 있다.
`창조적 고독`-카프카,베토벤,비트겐슈타인과 같은 고독한 창조자의 예를 통해
행복과 안정감을 줄 수있음을 강조한다.
고독의 위로 앤서니 스토 저 에서
'* 생각이 사람차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과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 (0) | 2015.02.09 |
---|---|
인생의 중간지점에 신경증 문제를 안게 되는 것은 스스로에게 주의를 기울리지 않고, 본성이 따르라는 길에서 너무 멀리 벗어났기 때문, (0) | 2015.02.09 |
삶이 마지막으로 향해 갈 때 사람들은 형태 만들기와 인간관계 이외의 것에 몰두 하며 너무 관계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이다. (0) | 2015.02.09 |
창의적 통각(위니콧은 인생이 살 가치가 있다고 느끼도록 만드는 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창의적 통각`이라 했다) 고독의 위로 에서 "상상력" (0) | 2015.02.09 |
뇌가 최적상태로 기능하고 개인이 최고의 잠재력을 발휘하려면 혼자 있어야 한다 (0) | 201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