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자율신경의 날경로는 신경절 이전 신경세포와 신경절 이후 신경세포로 구성된다.
하나의 신경절 이전 신경세포는 여러 개의 신경절 이후 신경세포와 연접하기 때문에 자율신경계의 조절작용은 매우 광범위하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되는데
모두 들신경 섬유와 날신경 섬유로 이루어진다.
교감신경은 전신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심장, 폐, 근육, 배안의 장기 등을 지배한다.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신체가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반대로 부교감신경은 에너지를 보존하는 기능을 한다.
-
위치
-
신체의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
형태/구조
-
뇌신경에서부터 시작하는 자율신경,
-
-
-
앞에서 언급했던 신경절 이전 세포와 신경절 이후 세포가 연접하는 장소인 자율신경절이 존재하는데
-
이는 날신경 섬유의 경로를 따라 위치한다.
교감신경절은 교감신경줄기나 척주(columna vertebralis)의 앞에 위치한다 -
(예를 들면, 복강신경절).
-
-
반면, 부교감신경절은 내장의 근처나 내장벽의 속에 위치한다.
-
따라서 자율신경절의 형태와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
기능
-
자율신경의 기능은 대부분 의식하지 못한 채 이루어진다.
-
-
-
-
에너지를 절약하고 저장하는 작용을 한다.
-
-
이들은 대개 한 장기에서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
-
예를 들면, 교감신경은 심장박동을 촉진하지만, 부교감신경은 심장박동을 억제한다.
-
관련 검사
-
자율신경계기능검사 등
'+ 정신(마음,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이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게 바로 자율신경을 잘 관리하는 것이다 (0) | 2014.05.03 |
---|---|
자율신경은 외부 환경이 변해도 몸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가지고 있다 (0) | 2014.05.03 |
자율신경 훈련: 요가/명상 심신 수행과 함께 걷기/아침식사/하루 반성의 올바른 생활ㆍ식습관이다. (0) | 2014.05.03 |
조금만 스트레스를 받아도 소화가 잘 안 되는 이유도 따지고 보면 신경 때문이다 (0) | 2014.05.03 |
정신이 건강해야 신체기능도 제대로 작동하게 된다 -- 자율신경 / 마음도 스트레칭 해줘야 (0) | 201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