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늘 자신을 경계해야

부분적인 정보만으로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 혼합 스캐닝(mixed scanning) 또는 적응적(adaptive 또는 humble) 의사결정법

modest-i 2020. 11. 4. 15:41

 

'부분적인 정보만으로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아미타이 이치오니)'는 혼합 스캐닝 법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어떤 분야에 대해 조사할 때, 우선 전체적인 그림을 통해 상황을 이해하고

나에게 필요한 특정 내용에 집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해서 이해가 쉬웠다.

새로운 분야를 공부할 때에는 이 방법이 매우 유용하다.

 

[출처] 의사 결정의 순간|작성자 아요

 

 

 

 

부분적인 정보만으로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 아미타이 이치오니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는 현대인들은 이것을 흡수할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낡은 의사결정 방법을 갖고 전 세계의 다양한 필요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 한때 이상적이었던 이성에 의존하는 의사결정도 당면 문제가 모든 측면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게 되자 거의 쓸모없게 되었다. 가장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의사결정 방법인 점진주의(incrementalism)도 큰 그림 대신 작은 단위의 변화에 매달리다 보니 별 효과가 없다.

 

현재 새로운 의사결정 모델이 발전하고 있다. 이 모델은 부분적인 정보로 시작하지만 새로운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광범위한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이 새로운 모델은 오랫동안 의사와 수많은 경영자들이 사용해 왔던 것으로, 혼합 스캐닝(mixed scanning) 또는 적응적(adaptive 또는 humble) 의사결정법이라고 한다.

 

혼합 스캐닝 법은 그 말이 의미하듯이 두 가지 판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조직의 기초 정책과 방향에 관한 폭넓은 선택이며,

둘째는 점진주의적 의사결정을 통해 새로운 판단 기준을 세워 실행함으로써 의사결정을 구체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 스캐닝 법은 합리적 의사결정보다 세밀하지는 못하지만 점진주의보다 더 포괄적이며 일반적인 대안에 덜 영향을 받는다.

 

 

 

 

먼저, 집중적인 시도와 오류(Focused trial and error)에 대해 살펴보자.

부분적인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며, 모르는 중요한 정보가 있긴 하지만,

그 정보 없이도 일단 시작하는 방법으로,

세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실에 근거한 논리적 절차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적인 정보는 없지만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이는 합리적인 전략이 아닌 적응성을 강조한 전략이다.

 

일시성(Tentativeness)은 필요에 따라 진로를 수정한다는 의미로, 적응성의 핵심적 규칙이다.

예를 들어 초진을 할 때 의사는 자신의 모든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다.

치료 목표를 세우고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시행착오를 거친다.

가령 X약을 Y날 동안 사용한 뒤 효과가 없으면 Z약을 시도한다.

 

 

 

경영자들도 이 방법을 사용해 의사결정의 융통성과 적합성을 높인다.

즉 의사결정을 전략적으로 연기 혹은 보류하거나, 여러 가지로 분리함으로써 갑자기 찾아온 다른 기회를 활용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비용이 발생할 경우 대신해 메우기도 한다.

 

 

 

먼저, 지체(Procrastination)는 제한된 자료를 가진 경영자들이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천천히 일을 진행하는 동안 새로운 자료를 얻어 새로운 대안을 찾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의사결정 주저하기(Decision staggering) -

예로 연방준비위원회가 할인율을 3% 인상한다고 발표한 후,

단번에 % 모두를 인상하지 않고, 한번에 0.5%씩 조정하면서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한 다음 인상하는 방법 -

세분화(Fractionalizing) -

한 번의 의사결정을 오랜 시간에 걸쳐 적용하기보다는 여러 번에 걸쳐 작은 의사결정으로 나눠 시기에 맞춰 실행할 수도 있고 늦출 수도 있는 방법 - 가 있다.

 

 

 

그리고 안전한 선택(Hedging bets)은 적응에 관련된 좋은 규칙이다.

예를 들어 투자자는 회사에 대한 정보가 미흡할 경우 분산 투자를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횡재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장기적인 이익과 안전 보장은 기대할 수 있다.

 

전략적 예비 자원 유지하기(Maintaining strategic reserves)는 안전한 선택의 또 다른 형태다.

1929년, 1987년 위기 때 다량의 현금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이 위기를 최대한 활용했다.

아울러 가역 결정(Reversible decision)은 부분적인 정보만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필요 이상의 개입을 피하는 방법이다.

 

되돌릴 수 있는 결정 (모디스트 첨삭)

 

 

지금까지 논의한 적응적 의사결정 기술은 효과적인 의사결정 모델에서 찾은 것이다.

요컨대 유연성,

신중함,

부분적 지식으로 의사결정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어리석은 사람만이 경직된 의사결정, 다시 말해 무리한 목표를 위한 의사결정을 한다.

 

유능한 경영자는 겸허한 의사결정을 내린다.

유능한 경영자라면 검증된 이 현실적 모델을 잘 이해하고 융통성 있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다음검색

출처: 우체국정보나라 원문보기 글쓴이: 등대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