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부자들이 죽어도 지키는 3가지 불변의 법칙
< 핵심 요약 >
부자가 되는 기본 원리
1. 평범한 사람들은 결과를 중시하지만, 부자들은 과정을 중시한다.
- 평범한 사람들은 곧바로 결과를 얻는데 집중한다.
- 부자들은 과정을 중시하는 매우 어려운 인고의 세월 통해 성장한다.
2. 부자들은 돈보다 시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 평번한 사람들이 시간을 물 쓰듯이 쓰고 자신의 여가를 우선시함
- 부자들은 시간을 매우 귀하게 여기며 생산성을 높이는 효율적인 행동에만 시간을 배분한다.
- 부자들은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에 본인의 시간을 쏟아부어 남들보다 앞서 가게 된다.
3. 부자들은 진입장벽을 높이고 또 높인다.
- 부자들은 평범한 사람들은 잘 생각하지 않는 자신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부단하게 한다.
- 일단 진입장벽이 높게 구축되면 돈이 돈을 버는 구조로 전환된다.
최상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계획과 행동들로만 하루 일정표를 채우는 사람이,
결국 자유 시장과 자본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큰 부를 획득하게 된다.
< 문익 생각 >
- 일확천금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노력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부자가 될 것
- 모든 사람들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24시간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
- 나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하고 그 진입 장벽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
오늘보다 내일 더 부자되기 블로그에서 펌함 20.10.02
경제적 자유란 말을 처음 들었을때 나도 모르게 심장이 쿵쾅쿵쾅 뛰었다.
나도 그런게 가능할까? 나도 할 수 있을까? 되면 정말 좋은데 어떻게 하면 가능하지?
이 모든게 궁금했다. 내 주위에는 부자가 거의 없는데 부자들이 행동방식이 궁금하다
그래서 책을 읽고 유튜브 영상을 찾게 되었다
부자들은 결코 평범한 사람들과 같은 길을 가지 않는다.
그렇다면 한가지씩 배우자. 매일 매일 조금씩 성장하는 내가 되어야곘다.
다음은 책갈피 님의 유튜브를 요약하였다.
자본주의는 자신의 능력으로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에게 부를 약속하는 개념이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목숨걸고 지킬 3가지
1. 평범한 사람들은 결과를 중시하지만 부자들은 과정을 중시한다.
예를 들어 화장품 1개 가격이 5000원 이라고 할때
원가가 4000원이면 평범한 사람들은
화장품 가격을 6000원으로 올리거나 판매가격을 낮추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부자들은 원료 가격을 낮추거나
화장품의 품질을 높이거나
눈에 띄는 마케팅 기법을 사용하거나
신규거래처를 더 발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매
일매일 부단한 노력과 인내심으로 노력한다
2. 돈보다 시간을 더 귀하게 여긴다
부자들은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지 연구한다
화장품 제조원가 낮추기 위해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활동에 시간을 집중투자
특히 반드시 해야 하나 중요하지 않은 일은 자신의 돈으로 용역을 고용하여 귀중한 시간을 만든다
즉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에 본인의 시간을 쏟아부어 남들보다 앞서 나간다.
3.진입장벽을 높인다
자신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
연구시설과 리서치 활동에 투자하고
최신트렌드 정보수집
경쟁자가 생각지 못한 특별한 홍보기법을 늘려
연구 개발한다
진입장벽이 높게 구축되면 돈이 돈을 벌게 된다.
[출처] 부자들이 죽어도 지키는 3가지 불변법칙|작성자 여유만땅스마일
책갈피 유트브 내용 요약이 잘 되어 펌했고 보기 좋게 각색함
상기 내용은 초기 자본주의에서 가능하나, 전반적 자본주의에서 통한다고 봄 20. 10. 2 모디스티
'^ 자유, 시장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천 《화식열전》 시장을 간섭하는 정책은 최하책[출처] 작성자 sonbc (0) | 2021.08.18 |
---|---|
폰 미제스와 같은 전통에 서 있는 하이에크=> 참다운 자유는 국가에 기초한 자유가 아니라 (0) | 2014.12.09 |
豫見된 社會主義 崩壞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러시아에서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자 "저건 망해." (0) | 2014.12.08 |
포퓰리즘 반성문 쓰는 남미 / 세계 7위권 경제대국(아르헨티나)에서 아르헨티나 / 베네수엘라 (0) | 2014.12.08 |
자유주의 진영이 소수인 이유는 무엇일까?=> 인간의 본성이 사회주의에 더 가깝기 때문 =>자유주의자는 고독하다 (0) | 201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