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미제스와 같은 전통에 서 있는 하이에크는 국가 개입을 제한하고 시장 기구를 작동하게 하면 경제적인 번영이 촉진되고
개인의 자유가 극대화된다고 주장한다.
참다운 자유는 국가에 기초한 자유가 아니라
시장에 근거한 자유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자유를 국가 권력과의 관계에서 이해하고 있다.
국가의 힘의 크기를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보자.
하이에크식의 자유주의는 가장 작은 정부가 가장 좋다고 생각할 것이다.
Most More Less Least
Government Government Government Government
자유주의자들은 개인의 자유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자유 시장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자유, 시장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천 《화식열전》 시장을 간섭하는 정책은 최하책[출처] 작성자 sonbc (0) | 2021.08.18 |
---|---|
[책갈피] 부자들이 죽어도 지키는 3가지 불변의 법칙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1 에서 요약한 유트브 내용 (0) | 2020.10.02 |
豫見된 社會主義 崩壞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러시아에서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자 "저건 망해." (0) | 2014.12.08 |
포퓰리즘 반성문 쓰는 남미 / 세계 7위권 경제대국(아르헨티나)에서 아르헨티나 / 베네수엘라 (0) | 2014.12.08 |
자유주의 진영이 소수인 이유는 무엇일까?=> 인간의 본성이 사회주의에 더 가깝기 때문 =>자유주의자는 고독하다 (0) | 201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