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동맥·성

단식 후 요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modest-i 2017. 7. 12. 11:14

요요 현상이란 식이요법 등으로 체중이 감량되었다가 다시 원래 체중으로 급속하게 돌아오는 것을 말합니다.

단식이나 절식, 즉 식이요법(다이어트)을 통해서 체중을 감량할 경우 체내 지방뿐 아니라 근육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근육량이 감소하게 되면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이 줄어들게 됩니다(기초대사량이란 가만히 있을 때도 소모되는 에너지로 기본적인 신진대사에 사용됩니다). 이렇게 체중 감량된 상태에서 식이요법을 중지하고 다시 이전처럼 식사를 하게 되면 감소한 기초대사량만큼 에너지가 남게 되고 이것이 지방으로 축적되어 다시 체중이 증가하게 됩니다.

더구나 우리 몸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에는 원래 체중으로 돌아가기 위해 식욕이 더 증가하고 섭취한 음식을 더 잘 흡수하여 지방으로 저장하려는 경향이 커집니다.

따라서 요요 현상은 특히 단기간에 체중을 감량할 경우에 더 잘 나타날 수 있으며,

반대로 체중 감량 이후 감량된 체중이 유지되는 기간이 길수록 이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은 감소합니다.


요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 단기간에 급격한 체중 감량을 하기보다는,

무리하지 않는 감량(한 달에 2kg 정도) 목표를 세우고 장기적으로 시행하여 체중을 서서히 줄여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식이요법을 시행할 때, 열량을 제한하면서도

                                고른 영양섭취를 통해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지 않게 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지방 소모를 유도하고,

적절한 근육운동을 통해 근육량 증가 내지는 근육량 소실을 막는 것이

기초대사량을 유지하도록 하여

감량 이후 체중 유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