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길 수 있는 것

무능의 이중고: 자신의 결점을 의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 결점 자체를 모를 뿐만 아니라, 자신이 그것을 모르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modest-i 2016. 6. 30. 11:51

무능의 이중고



코넬대학교의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 등이 실시한 연구에 의하면,


시험 성적 하위 25%에 있는 대학생들은

자신이 다른 학생들보다 괜찮은 답안을 작성했다는 느낌으로 시험지를 제출했다고 한다. 




이렇듯 어떤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이 부족함을 깨닫지 못한다.

심지어 이런 학생들은 시험을 심하게 망쳤을 경우,

자신이 쓴 답은 정확한데 오히려 시험 문제가 잘못되었다고 교수를 납득시키려 한다.




자신의 결점을 의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 결점 자체를 모를 뿐만 아니라,


자신이 그것을 모르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안타깝게도 과제숙달도와 관련된 뇌 영역과

          숙달 정도를 인식하는 뇌 영역은 대개 일치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사람은 무언가를 잘 못하는 경우

자신이 실제로 그 분야에서 얼마나 서투른지조차 모른다.



이런 현상을 앞에서 ‘무능의 이중고’라고 칭했다. 





유머감각이 전혀 없는 사람이 농담을 하고서 아무도 알아듣지 못한다고 답답해하거나,


재능 있는 사람을 선발하는 리얼리티 쇼에서 탈락한 사람이 오히려 심사위원들의 실수를 탓하며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면


(“제 노래는 완벽했다고요! 저 사람들은 지금 자신들이 무슨 얘기를 하는지도 몰라요!”) 당신은 무능의 이중고를 정확히 경험한 것이다.



-<위너 브레인> 제프 브라운




[출처] '무능의 이중고' 제 노래는 완벽했다구요! (밀리언셀러클럽 카페(추리, 미스터리, 스릴러, SF, 호러 소설)) |작성자 꼬치동자개



닝은 이들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하고 있다. 

당신이 계속해서 실패하는 이유를 도저히 모를 경우,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들어보라.
 
이때 중요한 것은 당신에게 상처를 줄지라도 솔직하면서도 건설적인 비평을 해줄 
믿을 만한 사람에게 조언을 구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결점을 제대로 직시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moon_and_james-72
심각한 실패를 계속 되풀이하기 보다는 직언을 받아들이는 편이 더 나을 것이다. line_characters_in_love-40


자신의 능력을 알아보는 번째 방법으로 던닝은
당신이 잘한다고 생각하는 능력을 발휘해 다른 사람을 가르쳐보라고 한다

만약 당신이 그것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면, 
당신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며. 

다른 사람을 가르쳐보기 전까지, 그래서 배운 자가 그 것을 잘 할 수 있을만큼 전달력이 있을 때까지 
hoppinmad_angry_line_characters-39
당신의 능력은 장담할 수 없는 것jessica_special-11blow_a_fuse-34.
당신은 안다 하나 타인을 이해시킬 수 없을 때 그것은 당신의 참 실력이 못 된다. jessica_special-36




는 던닝의 충고에 한발 더 나아가 
실패자들이 아닌 성공자들에게 촛점을 맞추어 첨언을 하고 싶다. 

성공자들도 처음엔 숙련도가 낮다. 누구나 처음부터 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헌데 성공자들은 자기 숙련도를 파악하는데 자신의 판단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그들은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일찌감치 활용한다. 

그래서 자신이 '그럭 저럭' 하는지, '참 잘' 하는지, '형편없는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평가에 기대어 자신의 다음 목표를 설정하고, 지금 기울여야 하는 노력에 집중한다.  
moon_and_james-59james_special-3moon_and_james-50moon_and_james-51james_special-7james_special-9




자신이 잘 하는 부분이 아닌 '아직' 잘 하지 못하는 부분을 노력하고 
효율적으로 보충하여 점점 더 잘하게되고 마침내 '훌륭히' 해내는 경지까지 끊임없이 나아간다.  
james_special-12


이 발전과정에는 타인지(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아는 것)를 활용하게 되어 있는데 
메타인지를 많이 써 본 사람은 남을 가르치는 데 더욱 잘 할 수 밖에 없다. 
james_special-11
왠고하니 아는 것의 목록을 빼곡히 뇌 속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남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그것을 매우 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 성공하기 위해선 
내 주변에 흩어져 있는 잔소리꾼, 핀잔쟁이, 경쟁자, 내 이야기를 정말 못 알아듣는 멍충이...
그 모든 인연들의 말을 잘 활용하여line_love_is_a_rollercoaster-32 내 좌표를 정확히 알아야  
오늘의 노력을 알고, 내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james_special-4
moon_and_james-68

중은 제 머리를 못 깎는다 
누군가의 손이 필요하다. 
그 손이 되어주는 주변의 인연들에 소리없는 감사를 보낸다~~. 
moon_and_james-46


참! 요즘엔 거울보며 바리깡으로 제 머리를 밀 수 있다고 '우기는' 사람이 있다하여 
다음엔 거울뉴런에 관해 알아볼까 한다. (다음 또...) 
line_love_is_a_rollercoaster-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