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어,생존)전략

몽골군의 말

modest-i 2015. 8. 17. 13:23

몽골족은 프로제말스키 말이라는 야생마를 탔다.

 

이 품종은 평균 키가 13~14뼘 정도에 다리가 두꺼우며

갑옷 입은 기사가 타던 중세 유럽의 군마보다 몸집이 훨씬 더 작고 힘도 세지 않았다.

 

 

 

 

 

 

 

이 몽골 말들은 말발굽으로 툰드라의 눈을 긁어내 그 아래에 있는 풀이나 이끼를 찾았고

심지어 나뭇잎을 먹기도 했다.

 

 

말이 눈 속에서 먹이를 찾을 수 있었던 덕에 몽골족은 혹독한 추위에도 말을 부릴 수 있었다.

 

실제로 한겨울에 파미르고원을 넘어 전투를 치르기도 했다!

 

 

 

 

몽골 병사들은 주로 이용하는 말 외에도 여분으로 세 필의 말을 더 끌고 다녔다.

강행군 중에는 몇 시간 만에 말을 자주 바꿔 타면서 말의 체력을 비축해주었는데,

이 기술은 각 말이 짐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했다.

 

 

 

 

몽골 기병들은 식량으로 쓸 젖과 피를 얻기 위해 주로 암말을 몰았다.

 

 

 

 

병사들은 말이 개처럼 주인을 따르고 주인의 부름이나 휘파람에도 응답하도록 훈련 시켰다.

 

그렇게 함으로써 말을 돌보고 먹일 사람이 많지 않아도 수많은 말이 군대와 함께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이다.

 

 

 

 

말은 몽골 사회에서 거의 신비에 가까운 존재가 되었고 칭기즈칸은 말을 인간적으로 대하도록 엄격하게 규제했다.

예를 들면 전쟁터를 누볐던 말은 더 이상 활용할 수 없을 때 도살하지 않고 자연으로 방생했다.

 

 

 

 

 

보통 몽골 병사들이 휴대하는 '비상식량'은 주로 가루우유 약 5킬로그램,

                                                                  수수 가루,

                                                                  암말의 젖과 피를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이 강한 말젖술(쿠미스) 2리터 정도였다.

 

                                                                 고기는 안장 밑에 두어 말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열과 땀으로 부드럽게 절여지도록 했다.

 

                                                                 그렇게 안장 밑에서 육포가 된 고기는 쉬는 동안 병사들의 간편한 간식이 되었다.

                                                                 이것을 본 외국 연대기 작가들은 몽골족이 살아 있는 말에서 고기를 잘라 먹었다고

                                                                 기록하기도 했다.

 

 

                                                                가루우유는 물과 함께 물통에 넣고 섞으면 부드러운 야쿠르트가 되었다.

                                                               

                                                                몽골 군사들은 정복한 지역에서 약탈한 음식 외에도

                                                                쥐와 이, 심지어 출산한 암말에서 나온 태반까지 거의 모든 것을 다 먹었다.

                                                                특히 막 잡은 동물의 장을 배설물만 짜내버리고 날것으로 먹는 이들의 식습관에

                                                                이슬람계 사람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칭기즈칸의 위대한 장군 수부타이......리처드 A 가브리엘 지음 

허당 허당 허당 블로그에서 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