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케네스 애로: 확실성에 대한 신념에는 엄청난 재앙이 뒤따름 번스타인 저 리스크 내용 중 노벨상 수상자인 케네스 애로(Kenneth Arrow)는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인간성 말살과 자기 파괴적인 기술을 잉태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면서 "사회나 자연을 다스리는 섭리에 대한 인식은 모호성이라는 구름을 길게 드리우며 다가온다. 방대.. ^ 리스크 2015.02.27
리스크: 파악하는 이유는 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도전하기 위해서이다. 내 위험을 판단해서 보다 안전하게 도전하는 방식을 찾는 것이다 ◆ 리스크의 축복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이 어떠한 기회에도 유혹을 느끼지 않는다면....사람들은 냉철한 계산을 한 후에야 투자에 나설 테고, 그러면 자연히 투자 자체가 많지 않을 것이다. " 즉 실패만을 생각하면 누가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 ^ 리스크 2015.02.27
리스크: '손실기피'(Loss Aversion), 사람들은 불확실성보다 손실을 더 싫어한다 어느 지역에 질병이 창궐해 600명의 사람이 죽을 것이라고 가정해보자. A계획은 200명을 구할 수 있고, B계획은 모든 사람을 구할 수 있는 33%와 아무도 구할 수 없는 67%를 가지고 있다고 하자. 어떤 계획을 선택하겠는가? 리스크가 없는 A계획을 선택할 것이다. 다른 식으로 생각해보자. C계.. ^ 리스크 2015.02.27
리스크: 사람은 이해하고 허락할 수 있는 정도의 가능한 손실이라면 기꺼이 투자를 하든가 도박을 한다 / 캐네먼,트베르스키 공포와 탐욕의 시대, 뱃심 좋게 도전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전 세계가 금융 위기로 아우성이다. 각국에서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은행 구조를 개선하고, 감세 혜택을 주고 있지만 이 위기가 언제 끝날지 제대로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IMF라는 큰 위기를 한 차례 넘긴 한.. ^ 리스크 2015.02.27
나이트는 1921년 <리스크, 불확실성, 그리고 이윤>이란 책에서 리스크를 측정 가능한 불확실성이라 정의하였다 <13장> 1차 세계대전과 공황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은 불확실한 미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했고 나이트와 케인즈가 처음으로 우리가 현재 이해하고 있는 리스크란 개념을 만들어냈다. 나이트는 1921년 <리스크, 불확실성, 그리고 이윤>이란 책에서 리스크를 측정 가능한 .. ^ 리스크 2015.02.27
위대한 기업의 선택 (짐 콜린스) 인생의 모든 시간이 평등한 것은 아니다 인생의 모든 시간이 평등한 건 아니다 . 삶에는 더욱 중요한 순간들이 있다. 10X 리더들은 기업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그 순간을 위해 준비하고 그것을 알아보고 기회를 잡고 인생을 걸고 최선을 다한다. 결과적으로 상황이 달랐던 것이 아니라 행동이 달랐던 것이다. 그들의 운명이 갈린 .. ^ 리스크 201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