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동 조지 베스트의 사례
어떤 감독도 통제에 실패 맷 버스비만 컨트롤 성공 비결은 야단치지 않는 것
축구 용어로 '조지 베스트 신드롬'이라는 것이 있다.
불세출의 축구 천재 조지 베스트는 1963년 17세의 나이로 영국 프로 축구팀 맨체스트 유나이티드(이하 맨유)에 입단,
1974년까지 총 474경기 중 181골을 넣었다.
1968년에는 유럽 최우수 선수상을 받기도 했다.
고향 북아일랜드에는 그의 이름이 들어간 조지 베스트 벨페스트 시티 공항도 있다.
그러나 그는 악동이었다.
맷 버스비 감독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를 컨트롤할 수 없었다.
1969년 맷 버스비가 맨유를 떠난 뒤 다른 여러 감독이 그를 컨트롤하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이렇게 실패한 감독들을 두고 '조지 베스트 신드롬'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
'다른 감독이 휘어잡지 못하는 악동 선수를 자신만은 훌륭한 선수로 만들 수 있다고 믿는 심리 현상.'
경영자들 역시 '조지 베스트 신드롬'을 가지고 있다.
자신은 조직원들의 충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믿지만,
성공하는 경영자는 많지 않다.
조직원의 충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해답은 조지 베스트의 입장에서 찾아야 한다.
제임스 쿠제스와 배리 포스너는 '리더십 챌린지'라는 책에서, 그 질문에 '존중'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조직원에 대한 상사의 '존중'이 충성을 이끌어 내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는 말이다.
존중에는 첫째 야단치지 않는 것,
둘째 인정하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애로 사항을 살피고 해결해주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세 가지가 모두 충족될 때 조직원은 최상의 컨디션에서 최고의 역량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조지 베스트의 스승인 맷 버스비의 리더십에는 위 세 가지 요소가 모두 들어 있다.
조지 베스트가 술과 여자로 방황할 때 다른 감독과는 달리 야단치지 않고 그를 기다려 주었으며,
탐색전을 펼치라는 자신의 지시를 어기고 공격에 나선 조지 베스트가 전반 12분까지 2골을 넣었을 때도 '베스트는 귀마개를 하고 있었을 거야'라고 농담하며 실력을 인정해 주었다.
조지 베스트가 향수병에 시달릴 때는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매 주말 고향 벨파스트로 가는 비행기 표를 끊어 개인적인 문제까지 해결해 줬다.
조근호 행복마루 컨설팅 대표
'# 남, 자신실패 인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전 23승 / 이순신 => 실력이란 통계적으로 월등해야 있다 말 할 수 있음 (0) | 2014.07.27 |
---|---|
나(도고)를 넬슨에 비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순신에는 비할 수 없다 / 일본 제독 도고 (0) | 2014.07.26 |
혼자의 시간을 즐기는 사람만이, 누군가를 제대로 사랑할 수 있다 <- [한성희 박사의 女子 토크] (0) | 2014.06.22 |
자신의 실패 잘못 실수를 인정하고 반성하기 <==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 (0) | 2014.05.01 |
당신이 저를 꽃이라 부를 때 꽃이 되었다. <== 행복: 남을 먼저 인정하기 (0) | 201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