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걸음 양보함

말하기 전에 : 참말인가 / 필요한 말인가 / 친절한 말인가 => 말이 흉기가 된다

modest-i 2014. 7. 2. 18:48

말이 흉기다

문유석 판사·'판사유감' 저자 사진
문유석 판사·'판사유감' 저자
  • 사람을 살해하는 동기는 무엇일까. 재판 경험에 비추어 보면 의외로 '자존심'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건설 현장에서 숙식하는 노동자가 자고 있는 동료를 칼로 찔러 살해한 사건이 있었다. 동기는 말 한마디였다. 저녁 때 소주를 마시다가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특정 지역 출신 촌놈이라고 놀렸다. 다 같이 힘든 삶을 사는 처지면서 좀 더 가난한 지역 출신이라고 놀린 것이다. 그만두라고 해도 반복적으로 놀리자 모욕감에 시달리다 일을 저질렀다.

    40년 해로하던 노부부가 있었다. 평소 유순하고 소심하던 남편이 아내를 살해했다. 이유는 사소한 말다툼 중 '개눈깔'이라고 내뱉은 아내의 말 때문이다. 어린 시절 사고로 눈 한쪽을 잃고 모진 놀림에 시달렸던 그에게 그 한마디는 흉기였다. 이처럼 누구에게나 자기만의 급소가 있다. 그리고 그것을 찌르는 흉기는 바로 '말'이다.

    특히 인터넷은 그 흉기를 죄의식 없이 휘둘러대는 전쟁터다. 리틀 싸이 황민우군과 베트남 어머니가 악성 댓글로 고통받은 일이 있다. 미국인들은 소수자, 사회적 약자에 대한 증오 발언에 대해 사회적 제재를 가한다. 한 NBA 구단주는 '흑인과 함께 내 경기장에 오지 마라'고 여자친구에게 전화로 말한 사실이 알려져 영구퇴출 당하고 구단을 매각했다.

  • 일사일언 일러스트

    법관들도 말에 대해 주의하고 반성하기 위해 전문가의 강의를 듣는다. 그때 배운 것이 있다.

     

    데이의 '세 황금문'이다. 누구나 말하기 전에 세 문을 거쳐야 한다.

     

    그것이 참말인가.

                                  그것이 필요한 말인가.

                                                                         그것이 친절한 말인가.

     

    흔히들 첫 번째 문만 생각한다.

    살집이 좀 있는 사람에게 '뚱뚱하다'고 말하는 것은 거짓은 아니다.

    하지만 굳이 입 밖에 낼 필요는 없는 말이다.

     

    사실 이 두 번째 문만 잘 지켜도 대부분의 잘못은 막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친구의 비만을 걱정하여 충고하고 싶다면 말을 잘 골라서 '친절하게' 해야 한다.

    이 이야기를 듣고 많이 반성했다.

    혹시라도 법정에서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귀는 더 열고 입은 더 무겁게 해야겠다.

    문유석 | 판사·'판사유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