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위빠사나 명상의 싸띠(sati)에서 유래한 용어로 "매 순간 순간의 알아차림"(moment-by-moment awareness)을 말한다. 마음챙김은 MBSR로 유명한 서양의 명상이고, 산스크리트어 스므리티, 팔리어 싸띠, 한국에서는 염(念)이라고 한다. 모두 동의어지만, 해당 언어권에서 발달된 명상법 위주로 설명을 하기 때문에 항목을 분리시켰다.
영어로는 bare intention, noting, awareness, attention 등으로도 번역되며, 한국에서는 마음챙김 또는 알아차림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지만, 깨어있음, 주의깊음, 마음집중, 마음지킴, 수동적 주의집중 등으로도 번역된다.
MBSR[편집]
국제적으로 마음챙김이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1979년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프로그램을 개발한 매사추세츠 대학교 의과대학의 존 카밧 진 교수(en:Jon Kabat-Zinn) 때문이다.
2013년 현재 MBSR은 전 세계 700곳이 넘는 의료기관에서 우울증,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병치료에 활용된다.
존 카밧 진 교수는 학부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MIT에서 노벨상 수상자인 샐바도르 루리아 박사의 지도하에 분자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4년 미국에서 숭산 스님(1927~2004)의 제자가 되어 한국의 참선을 배웠으며, 역시 숭산 스님이 설립한 보스턴 근교의 케임브리지선원(en:Cambridge Zen Center)의 수석법사로 참선을 지도했다.
2011년 영국 왓킨스 리뷰가 선정한 "세계의 영적 스승 100인"에 포함되었다.[1]
MBSR 프로그램은 1979년 이후 세계적으로 가장 임상연구가 많고 정평 있는 심신의학 프로그램으로 인정받고 있다. 2012년 4월 현재 미국 MBSR 본부가 정식으로 인증하는 공인 지도자는 전세계에 40 여명이 있다. 2만여명의 환자들이 참가했으며, 전세계적으로 720여개의 병원 및 센터에서 MBSR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불교의 명상법을 종교와 무관한 의학적 치료 명상법으로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
불교[편집]
석가모니의 설법 중에 깨달음에 이르는 여덟가지 바른 길인 팔정도에서 정념(正念, Right mindfulness), 바르게 깨어 있기를, 요즘에는 미국에서 역수입되면서 마음챙김(Mindfulness)이라고 번역한다. 정념은 남방불교에서 싸띠(sati)라고 부른다.
간화선을 하는 한국불교에서는, 화두를 의심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정념이라고 한다. 의심이 끊어지면 안되며, 몽중일여, 숙면일여까지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렇게 화두를 인식, 의심하는 상태로 깨어 있는 것이 정념의 상태이며, 반드시 확철대오를 하여 깨달음을 얻지 못해도, 이 의심하고 있는 정념의 상태 자체가 깨달음의 상태와 매우 근접한, 유사한 상태라고 한다. 의심한다는 말의 뜻이 깨어있다의 의미와 매우 유사해서, 의심이 죽으면 안된다고 매우 강조하는데, 깨어있음이 죽는 것을 호통을 쳐서 다시 깨우는 것을 중시한다.
각주[편집]
- 이동 ↑ 존 카밧진 교수 "마음챙김 명상,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 한국경제, 2012-10-31
더보기[편집]
[숨기기] ![]() ![]() | ||
---|---|---|
기본 사상 | ![]() | |
붓다 | ||
주요 개념 | ||
세계관 | ||
수행 | ||
수행 계위 | ||
상가 | ||
주요 인물 | ||
경전 | ||
종파 | ||
국가별 | ||
역사 | ||
철학 | ||
문화 | ||
기타 | ||
비교 종교 | ||
목록 |
'+ 정신(마음,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챙김(Mindfulness):마음이 삶을 어디까지 바꿀 수 있는가 / 마음을 놓치면 삶도 놓치고 만다! / 엘렌 랭어 지음 (0) | 2016.07.05 |
---|---|
마음챙김과 심리치료 (0) | 2016.07.05 |
운동과 지적 자극을 통해 지속적으로 뇌를 단련한 경우 인지적 비축분 늘어남 / 알츠하이머를 극복한 베르나데트 수녀 이야기 (0) | 2016.05.10 |
'인지적 비축분'이란 독서나 교육 같은 지적 활동으로 부터 비롯된다고 하는데요. 그것을 토대로 알츠하이머를 극복한 베르나데트 수녀 이야기 (0) | 2016.05.10 |
깜박깜박해도 중년의 뇌가 가장 스마트하다 / 인지적 비축분 / 운동은 뇌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 (0) | 201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