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요한의 나! 리모델링] 위험한 ‘저지르고 보자’ - 지나친 낙관주의
“사장과 싸우고 따로 회사를 만들었습니다.
솔직히 사장보다는 잘할 자신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기대와는 달리 잘 되지 않더군요.
그래도 어떻게 점점 나아지지 않겠나 하는 마음으로 더 버텼습니다.
예전에는 일단 저지르고 보면 어떤 식으로든 해결이 되었는데
이번에는 감당이 안 되네요.
도와주는 사람도 없고요.”
인테리어 사업에 실패한 L씨(35)는 울먹이며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어떻게든 잘 되겠지!’라는 안이한 태도가 사업 실패의 큰 원인이었다.
예를 들면 고객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을지 없을지는 따져보지도 않고 일단 계약부터 하고 보는 식이었다.
결국 고객과의 분쟁이 늘면서 문을 닫게 되었다.
상담실에는 L씨처럼 지나친 낙관주의 때문에 자신의 발등을 찍고 나서 찾아오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들은 미래와 현실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 태도를 취하는 것이 문제다.
그렇기에 이들은 미래의 위험과 현실의 복잡함에 대처하는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어려움을 만나면 ‘어떻게 되겠지’라는 마음으로 피하기 일쑤다.
굳이 말하지 않더라도 세상을 살아가는데 낙관주의자가 비관주의자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는다.
그러나 지나친 낙관주의 역시 비관주의만큼이나 해롭다.
낙관주의자와 구분 짓기 위해 이들을 과잉낙관주의자(overoptimist)라고 하자.
이들은 별 어려움 없는 환경에서 자라나 적절한 좌절이나 실패경험을 겪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에 이들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하고
실제보다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기 쉽다.
즉 과잉된 자신감과 자기중심적 사고로 인해 위험요인은 경시하고 기회요인에만 의식의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들의 발걸음은 현실이라는 땅에 닿는 순간 예상치 못한 장애물에 부딪혀 꼬여버리고, 넘어지면 잘 일어나지 못한다.
사람이 성장하려면 성공과 신념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실패와 회의 또한 배워야 한다.
적절한 좌절과 불신의 경험은 복잡한 현실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면역력을 키워준다.
그럼에도 사회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긍정의 힘만이 강조되는 것 아닌가 싶어 염려가 된다.
부정적인 사고와 감정은 박멸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부정성 역시 그 자체로 존재의 이유와 가치가 있다.
걱정과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위험을 관리하고 미래로 나아갈 것인가!
그러므로 긍정과 부정의 두 세계를 아우를 수 있는 사람만이 깊이를 가지고 차디찬 현실에 맞설 수 있다.
진정한 낙관성은 난관 앞에서도 웃을 수 있는 태연함이나 자신의 목표가 별 어려움 없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는 순진함이 아니다.
낙관성은 어려움이 있지만 꾸준히 노력해 나가면 결국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고 믿는 실천의지이자 강인함이다.
그렇기에 과잉낙관성은 준비 없는 기대로 이어지고,
낙관성은 준비와 실천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즉 과잉낙관주의자는 자신의 능력을 앞세우며 오만하지만,
낙관주의자는 부족한 능력을 노력으로 보완하기에 겸손할 수밖에 없다.
문요한 정신과 전문의 mt@mentaltraining.co.kr
지나친 낙관 경계하려면
■‘간절히 행하면 이루어진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것은 절반의 진리다.
그러므로 자신의 소망을 어떻게 현실화시킬 수 있을지 묻고 또 물어 실천으로 이어가라.
■ ‘포물선의 지혜’를 떠올려라. 물질적이든 비물질적이든 간에 세상에는 어떤 균형점이 존재한다.
넘치는 것과 치우치는 것은 좋은 것이 아니다.
낙관주의가 만사를 다 해결해주는 것이 아님을 인정하라.
■‘찬반토론’을 하라.
계획을 세울 때 비평적 관점과
실천적 관점을 오가며 위험요인과 실행계획을 따져보고
두 요소를 통합하여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라.
■ 중요한 결정은 꼭 가족과 주변 사람들을 설득시켜라.
가까운 사람도 설득시킬 수 없는 결정은 좋은 결과가 따르지 않는다.
2007.12.20 16:17 입력
------------------------------------------------------------------------------------------------
포물선의 지혜 ?
Leadership] 지혜로운 개구리 |
타는 듯한 목마름 속에서도 눈앞에 나타난, 너무 깊어 들어가면 물이 마른 후에는 다시 나오기 힘들 것 같은 다소 위험한 우물을 뒤로 하고
새로운 우물을 찾아 길을 떠난 두 개구리.
미래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은
지혜로운 개구리처럼
가능한 한 멀리 내다보고
최악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길을 함께 떠날 동료를 저버리지 않는 것이다.
옛날 옛적에 개구리 두 마리가 살았다. 어느 한 여름날 가뭄이 계속되자 땅이 쩍쩍 갈라지고 개구리들이 살고 있는 늪지마저 바싹 바싹 타들어가기 시작한다. “우리 이대로 있다가는 그대로 쪄 죽을 거야!” 입 큰 개구리가 거품을 물면서 말한다. “그래, 나도 정말이지 더 이상 못 견디겠어. 아무래도 살 길을 찾아 나서야겠다.” 눈 큰 개구리도 동의한다. 두 개구리는 시원한 물이 있는 곳을 여기저기 찾아 다닌다. 하지만 가는 곳마다 다 허탕이다. 그러다가 물이 고여 있는 우물 하나를 발견한다. 이때 우물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던 눈 큰 개구리가 하는 말. “안 돼, 여긴 너무 깊어. 다른 곳을 찾아 봐야겠어.” 입 큰 개구리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는 말투로 “여태껏 허탕 치다 이제 겨우 우물을 발견했는데 깊다고 안 들어가다니. 오히려 깊어서 물이 더 풍부하겠네”라며 아우성친다.
눈 큰 개구리는 침착한 어투로 말한다. “지금은 들어갈 수 있지만 물이 마르게 되면 이 속에서 꼼짝없이 갇혀 죽을 거야.”
결국 두 개구리는 불타는 목마름을 가지고 다른 곳을 찾으러 간다.
원고심려하라 두 개구리는 과연 지혜로운 선택을 한 것일까.
여러분이 이 개구리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당장 눈앞의 달콤한 이익에 집착하다 그 뒤에 바로 이어서 벌어질 일을 망각하고 행동한 적은 없는가.
앞뒤 가리지 않고 바로 자신에게 유리한 것을 취하고 난 뒤에 그 덫에 걸려서 고통을 당한 적은 없는가.
일단 장기적 위험에 대해 생각했다는 점에서 눈 큰 개구리는 지혜의 기본 요건을 갖추고 있다.
멀리 내다보고 깊이 생각하는 원고심려(遠考深慮)는 지혜의 근본이다.
즉각적이고 충동적인 욕구와 욕망만을 충족하려는 자는 반드시 후폭풍에 시달리게 마련이다.
버섯을 따러 숲 속으로 들어간다고 가정해 보자. 주어진 시간에 가장 버섯을 많이 딸 수 있는 방법은 최대 버섯 군락을 빨리 발견하는 것이다. 버섯은 음습한 지역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숲의 가장자리보다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모여 살고 있을 확률이 크다.
그렇게 첫 번째 버섯 군락을 발견한다.
여기에서 따기 시작할 것인가, 아니면 한두 군데 더 살펴볼 것인가.
물론 한두 군데 더 살펴보고 셋 중에서 제일 큰 곳에서 집중적으로 따는 것이 제일 낫다.
일단 발견했다고 멈춰서 따기 시작하면 더 큰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봉쇄하는 것이다.
물론 점점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 반대편 숲 가장자리에 가까워지게 된다.
여기에서 중용의 법칙이 적용된다.
멀리를 내다보라고 하는데 얼마나 멀리를 내다보는 것이 가장 지혜로운 것인가.
“장기적으로 우리 모두 죽는다.” 어찌 됐든 케인즈가 한 이 말은 잘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최악의 사태를 대비하라 미래에 불확실성이 잔뜩 끼여 있는 경우 최상의 목표를 지향하되 최악의 사태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꿈은 높이 가져라. 그러나 동시에 현실을 직시하라.
꿈만 중요한 것도 아니고 현실도 동시에 중요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양자 간의 밸런스다.
최상의 목표와 최악의 사태를 조화시켜라.
근거 없는 낙관주의가 가장 위험한 이유도 최악의 사태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고 계... |
(
khc602@gmail.com) 2013-07-31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에서 펌함 |
'* 늘 자신을 경계해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는 변했는데 김성근 야구는 제자리걸음 (0) | 2015.09.13 |
---|---|
리더의 낙관주의 편견 : 결과에 대한 자신감이 강할수록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 낙관주의의 결말은 예상보다 훨씬 더 치명적일 수 있다 (0) | 2015.09.08 |
자신에 대해 솔직하고 실수, 실패를 인정해야 성장과 행복이 있다 <- 전총리 공인 한명숙의 엉뚱한 합리화를 보고 (0) | 2015.08.27 |
칭기스칸은 대제국의 황제였으나, 늘 남의 말에 귀 기우렸다 <- 쉽지 않음의 사례: '바른 소리' 용납 못하는 새정치 (0) | 2015.08.27 |
희망은 방법이 아니다. 또한 전략도 아니다 (0) | 201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