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초월의 사람의 본질
프랭클의 견해를 따르면,
인간이 살아가는 주된 동기는 자아(self)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찾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자아를 "잊는 것(forgetting)"이다.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부터 초월한다. 완전한 인간이란 자신을 뛰어넘어 다른 사람 혹은 일과 관계를 맺는 것이다. 프랭클은 자아초월의 특징을 제 속에 들어 있는 것은 볼 수 없지만 직접 관련이 있는 바깥 세계는 볼 수 있는 인간의 눈에 비유하였다. 실제로 눈이 저를 들여다보고 있을 때―예컨대 백내장으로 덮여 볼 수 있는 것이 그 뿐일 때―그 자체 외에는 다른 아무 것도 볼 수 없다. 그렇다면 본다는 것은 자아초월이다. 즉 제 기능을 하기 위해 자신의 밖에 있는 것을 다루어야 한다.
프랭클의 이런 견해는, 인간의 완전한 성숙에의 목표나 동기는 자아(self) 수행이나 실현에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과 정반대적 입장이다. 프랭클은 권력을 위해서든 쾌락을 위해서든 실현을 위해서든 인간이 자아 속에 어떤 상태나 조건을 세워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그런 견해는 현실 세계나 대인관계가 아닌 자아에만 관심을 집중시키는 폐쇄적 이론 체계라고 주장했다. 오로지 목표를 자아 내부에 두고 추구해가는 것은 자아파괴적(self-defeating)이라고 프랭클은 믿었다.
이제 자아를 향한 목표 두가지, 즉 쾌락과 자아실현에 대해 알아보자. 프랭클은 쾌락이란 추구할수록 발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것으로 본다. 삶이 행복을 추구하는 데로 집중되면 그는 결코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 행복이란 것을 목표로 삼을수록 행복을 알게 되는 이성(理性)은 점점 더 그 시야를 잃는다. 프랭클은 성적(性的) 쾌락에 탐닉하는 사람들을 예로 든다. 환자를 연구한 결과 성적(性的) 무능과 불감증을 호소한 95%의 남성은 애써 능력을 과시하려 하고 여성은 오르가즘(orgasm)에 도달함을 보여주려 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그런 사람들은 삶의 의미를 추구하며 얻어진 부산물로서가 아니라 행복감 그 자체를 너무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쾌락이나 행복은 삶에 즐거움을 더해주는 것이지 그 자체가 삶의 목표는 아니다. 행복은 추구해감으로써 붙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이행하며 자신의 외부에 있는 목표를 달성할 때 자연스럽게 자발적으로 따라오는 것이다.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것도 원칙적으로는 마찬가지이다. 직접 자아실현을 하려고 애쓰면 애쓸수록 자아실현은 점점 어려워진다. 자아실현은 자아초월과 정반대적인 것으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나서 생기는 이차적 효과이다. 그러므로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을 초월하여 의미를 수행하는 것이다.
프랭클은 자아실현을 하는 최선의 방법이 자신을 초월하여 있는 어떤 것 혹은 어떤 일을 실행하는 것이라는 머슬로우의 견해와 그의 견해가 같다고 믿는다. 자아실현에만 집중하면 의미에의 의지(will to meaning)는 좌절감을 겪기 쉽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프랭클은 부메랑(boomerang: 던지면 곡선을 그리며 다시 돌아오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무기―역자 주)의 예를 들었다. 부메랑의 목적은 그것을 던진 사람에게 되돌아오게 하는 것이 아니다. 부메랑은 표적을 놓쳤을 경우에만 되돌아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도 이 세상에서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시야를 잃었을 때 자기 속으로(자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 되돌아가게 된다. 표적(과업과 의미)을 놓쳐 의미에의 의지가 좌절당했을 때에 자신에게 오로지 전념하게 된다. 심리적으로 건강하다는 것은 자신(self)으로부터 초점을 옮겨 자신을 초월하고 의미와 목적을 찾는 데 몰두하는 것이다. 그러는 동안 자신은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수반되어 실현된다.
산마루의 소고 에서 펌함
'## 행복의 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이란 건강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충만한 느낌/ 최적의 존재 상태/ 분노, 질투, 탐욕, 공포심, 두려움 등 번뇌로부터 자유로울 때 (0) | 2015.06.19 |
---|---|
마티유 리카르 스님 “행복은 기술…연마해 습득할 수 있어” / 경험과 나를 분리해서 관조를 하면 만사는 마음먹기에 달려있는 것 (0) | 2015.06.19 |
삶의 의미를 발견한 사람은 건강한 사람이 도달하는 최상의 상태, 즉 자아초월 상태에 도달한 것이다.수 용성도 창조성만큼 의미를 지닐 수 있다 (0) | 2015.06.16 |
행복은 무엇이아니라 어떻게의 문제다 / 행복은 대상이 아니라 재능이다--헤르만 헤세 (0) | 2015.06.16 |
의미, 책임, 선택, 경험, / 죽음의 수용소에서 (0) | 2015.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