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이 사람차이

니체: 삶의 의미를 아는 사람은 어떻게든 살아갈 수 있다 / 조던 피터슨: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는 것

modest-i 2021. 2. 6. 06:43

조던 피터슨의 12가지 인생의 법칙 중에서

 

 

법칙 2.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

 

자신을 책임지고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한다는 것은,

나에게 진정으로 좋은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려면 당신이 지금 어디에 있고 누구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삶의 혼돈을 줄이고, 질서를 재정립하며, 세상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습니다.

 

당신만의 원칙을 명확히 세우면

당신을 부당하게 이용하려는 사람들로부터 당신을 지킬 수 있습니다.

 

 

 

 

니체왜 살아야 하는지를 아는 사람, 삶의 의미를 아는 사람은 어떻게든 살아갈 수 있다.”라고 말한 것처럼

 

당당하게 살아야 합니다.

 

당신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는 것입니다.

 

 

 

 

모디스티: 생각해보기 => 나에게 진정 좋은 것 ?

 

                                 내가 어디에 있고, 누군지를 정확히 알 수 있나 ?

 

                                 나만의 원칙은 ?

 

21.02.06

 

 

----------------------------------------------------------------------------------------------------

 

 

나 자신을 제대로 보살핀다면

내 인생이 어떻게 달라질까??

길 잃은 타인을 돕듯

나 자신을 돕는다면??

똑똑!

누구시죠??

지금 어디계세요??

어디가세요??


평생을 살면서

내가 누군지

어디로 가는지

지금 어디에있는지

나의 목표와 방향에 대해

물어본적이 있었나..??

[출처] [북리뷰]12가지 인생의법칙 / 법칙2.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작성자 Tiffani

 

 

 

 

 

P.99

나는 저명한 심층 심리학자 카를 융으로 부터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대로 남을 대접하라'와

'네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라는

가르침에 대한 2가지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첫째는 두 가르침이 미덕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것이고,

둘째는 두 가르침 모두

명령이나 지시가 아니라

'남과 나'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내 가족이나 친구, 연인을 대할 때

그들을 챙기는 것만큼이나 최선을 다해

나 자신을 챙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 역시 마찬가지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나는 결국 노예가 되고

상대는 폭군이 될 것이다

그래서 좋을것이 있는가?

어떤 관계에서나

양쪽 모두 강한게 훨씬 낫다

[출처] [북리뷰]12가지 인생의법칙 / 법칙2.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작성자 Tiffani

 

 

 

[출처] [북리뷰]12가지 인생의법칙 / 법칙2.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작성자 Tiffani

 

-------------------------------------------------------------------------------------------------------------

 

지금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

그래야 미래를 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지금의 당신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래야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또 당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삶에서 혼돈을 줄이고 질서를 재정립하며

세상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다.

당신이 나아갈 방향을 정해야한다.

-그래야 당신 자신을 다스릴수 있고 결국에는 원망과 앙심과 잔혹성을 떨쳐 낼 수있다.

당신만의 원칙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그래야 당신을 부당하게 이용하려는 다른 사람들에게서 당신을 지킬 수 있고

안전하게 일하며 삶을 즐길 수 있다.

꾸준히 심신을 단련하고 자신과의 약속을 지켰을 때는 스스로에게 충분한 보상을 주어야 한다.

-그래야 자신을 신뢰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출처] [12가지 인생의 법칙]- 네번째이야기: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작성자 오뚝킴

 

 

목표와 방향의 힘은 얕볼 수 없다.

목표와 방향은 넘을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장애물도

넘을 수 있는 길로 바꿔 놓는다.

그리고 기회의 문을 열어줄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더 강해져야 한다.

당신 자신부터 시작하라.

당신을 보살펴라.

당신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아라.

더 나은 사람이 되어라.

목표를 정하고 그곳으로 향한 길을 걸어라.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

p103-104

[출처] [12가지 인생의 법칙]- 네번째이야기: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작성자 오뚝킴

 

---------------------------------------------------------------------------------------------------------------

 

약을 처방받고도 먹지 않는 사람이 있다.

한 실험에 의하면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은 후 약국에 들르지 않는 사람이 30퍼센트에 이른다고 한다.

약국에 들려 약을 받은 사람 중에도 절반은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는다.

약을 먹지 않으면 심각한 위험에 처하는데도 어떤 사람은 약을 먹지 않는다.

<12가지 인생의 법칙>의 저자 조던 피터슨은 그 이유를 자의식에서 찾는다.

인간은 스스로에 대해 추악하고 연약하고 저질스러운 존재라는 부끄러운 자의식을 무의식 중에 갖고 있다고 한다.

 

 

 

 

 

인간은 아무렇지도 않게 악행을 저지를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지구상에 이런 특성을 지닌 생명체는 인간이 유일하다.



옳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일부러 나쁜 짓을 저지른다.

이런 추악한 면을 생각해보면 우리가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중략)

인간이 이렇게 악하다면
병에 걸렸을 때 치료해서 살리는 것이 과연 도덕적으로 올바른가를 따져 봐야 하지 않겠는가.

각자의 어두운 본성에 대해서 당사자만큼 잘 아는 사람은 없다.

<12가지 인생의 법칙> 93쪽

 

 

 

 

 

 

그래서 자신을 깎아내리고 보살핌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결점과 부족함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하고, 자신의 가치를 의심하며 부끄러워한다.

 

 

 

 

인간은 누구나 삶의 무게를 온몸으로 받아 내며 힘겨워한다.

외적인 힘 앞에서 한없이 가녀린 인간이 자신의 내면에서까지 스스로를 무너뜨리면 그 삶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그래서 저자는 우리가 자신을 스스로 보살펴야 한다고 말한다.

 

 

[출처] 12가지 인생의 법칙, 법칙 2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작성자 비비추의 꿈

 

 

각색 21.02.06.   모디스티

 

---------------------------------------------------------------------------------------------------------------

 

 

자신을 제대로 보살피려면 먼저 자신을 존중해야 한다.

 

우리는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다.

사회에 치여, 경쟁에 치여 나 자신을 끊임없이 타인과 비교하게된다.

 

어느 대학을 나왔고, 어떤 직장에 다니며 어떤 외모를 가졌는지에 대해.

 

그러나 이런 비교는 정말 쓸모가 없다.

비교는 나 자신과 멀어지는 행위일 뿐이다.

 

 

나 자신을 존중해야 타인과 세상을 존중할 수 있게 된다.

나 자신을 존중하게 되면 우리가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하는 것처럼 자신을 대할 수 있다.

 

 

 

상황이 어떠하냐 보다 내가 어떻게 삶을 대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출처: Rich의 도구들

 

각색 모디스티 21.02.06.

 

 

--------------------------------------------------------------------------------------------------------------------

 

 

나를 돌본다는 것은

'내가 좋아하는 것'보다는

"나를 좋게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