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 자신실패 인정

기능적 고착: 사람들은 무언가를 처리하는 방법을 배우고 나서는 그 방식 하나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modest-i 2015. 3. 8. 17:43

우리는 왜 실수를 하는가 / 저자 : 조지프 핼리넌 에서 펌함

 

---------------------------------------------------------------------------------------------

 

기능적 고착이란 어떤

사물을 볼때 가장 많이 쓰이는 용도로만 해당 사물을 지각 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책에 줄을 치려고 하는데 자가 없다면 다른 대리물로 책갈피를 이용해서 줄을 그을수 있는데

기능적 고착현상은 책갈피를 책에 끼우는 것만으로생각하여

줄을 그을 때 이용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사물에 대한 사고의 활용 융통성이 전혀 없는 상태입니다.

고지식하다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고나할까..

 

환경이 변화되어 다른 식으로의 방식이 적합한데도

기존의 방법을 고수하려고 하는 고집성도 어떤 면에서 고착이라고 생각됩니다.

 

기능적 고착 뿐만 아니라

 

사고의 고착도 일상에 매우 불편한 부분이지요.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감수하도록 내 마음을 열어놓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여겨집니다.

 

 

 

 

최경희상담클리닉카페 에서 펌함

 

---------------------------------------------------------------------------------------------

 

 

옛날
두 스님이 수행을 떠났다

추운 겨울이었는데 어느날 밤 버려진 사찰에 다다르게 되었다.

배는 고프고 날은 추워서 불을 피우지 않으면 그날 밤을 무사히 지내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 때 한 스님이 나무로 만든 목조불을 도끼로 찍기 시작하였다.

다른 스님은 당황했었지만 그 스님은 아무렇지 않은 듯이 장작으로 변한 부처에 불을 붙이기 시작하였다.

 

 

 

 

 

호연 카페에서 펌함

 

 

--------------------------------------------------------------------------------------------

 

두뇌는 언제나 익숙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뭔가 낯선 자극이 입력되지 않으면 이제까지 썼던 방식대로만 쓴다.

 

 

위험을 회피하고 에너지를 가급적 최소한으로 쓰려는 두뇌의 본능적 성향 때문이다.

 

 

 

이런 두뇌의 위험 회피적인 성향 때문에

주변 물체를 볼 때도 이미 알고 있는 용도로만 생각하고 다른 용도로 변형시켜 쓰지 않으려고한다.

 

 

 

이런 두뇌 성향을 기능적 고착 현상이라고 한다.

 

 

 

 

 

 

기능적 고착 현상은 아마도 성인에게 더 많은 현상이 아닐까 생각한다.

 

 

세상의 사물에 너무나 익숙해져 있기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생각을 하지 못한다.

 

 

피해야 할 현상중 하나이다.

 

 

 

 

 

생각의 빅뱅 책 내용 book.inerpark 에서 펌함